이상일 시장, 용인 숙원 송탄 상수원보호구역 해제 이끌어냈다

입력 2024-04-17 13:03 수정 2024-04-17 14:18

이상일 경기도 용인특례시장이 용인의 오랜 숙원이던 평택 송탄 상수원보호구역 해제를 이끌어 냈다.

이로써 용인 이동·남사읍 일대 토지가 지난 45년 간 묶여 있던 규제에서 풀리게 된다.

용인시는 17일 이상일 시장이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열린 ‘용인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업단지의 성공적 조성과 상생협력 증진을 위한 협약식’에서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 한화진 환경부 장관, 김동연 경기도지사, 정장선 평택시장 등과 송탄 상수원보호구역을 해제하는 내용의 협약서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협약의 또 다른 주체인 산업통상자원부에선 안덕근 장관을 대신해 강경성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이, 삼성전자에선 경계현 대표이사를 대신해 남석우 삼성전자 DS부문 사장과 박승희 삼성전자 CR담당 사장이 참석했다. 이동·남사읍 첨단 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조성 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선 이한준 사장이 참석해 서명했다.

용인시에 따르면 협약에서 8개 기관·기업은 용인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업단지 조성을 차질 없이 진행할 수 있도록 여러 분야에서 상생협력을 하기로 했다.

평택시는 용인 국가산단 계획 승인 전까지 송탄 상수원보호구역 해제를 완료하기로 하고, 용수공급 방안을 반영한 수도정비계획을 변경할 방침이다.

환경부는 송탄 상수원보호구역 해제를 위한 수도정비계획 변경 신청을 신속하게 검토해 승인하고, 경기도는 평택시에서 송탄 상수원보호구역 해제를 신청하면 신속하게 타당성 검토와 승인 절차를 진행하기로 약속했다.

삼성전자는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인 용인의 용인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업단지와 평택의 ‘고덕산업단지’를 잇는 반도체산업 벨트에 용인특례시, 평택시, 경기도, 반도체 관련 협력업체의 상생 발전을 위한 방안 마련에 적극 협조하기로 했다.

용인시와 국토교통부, 경기도, 삼성전자는 평택시가 복합개발사업 개발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협의를 요청하면 관련 법령과 절차에 따라 협조하고, 평택시가 복합개발사업과 연계해 수립할 예정인 ‘(평택)시도21호선·국지도23호선 도로 직결’에 대해서도 협조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협약에 참여한 기관들은 송탄 상수원보호구역 해제 후속조치 마련에도 힘을 모으기로 했다.

용인시는 용인 국가산단에서 발생할 방류수에 대해 환경부, 경기도, 평택시, 삼성전자와 함께 철저히 관리하기로 했다.

이처럼 관계기관·기업이 송탄 상수원보호구역을 해제하는 내용의 협약을 맺음에 따라 용인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업단지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도 신속히 진행될 수 있게 되고, 2026년 말 국가산단을 착공한다는 계획도 순조롭게 추진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용인의 오랜 숙원이던 평택 송탄 상수원보호구역 해제에 따라 송탄 상수원보호구역으로 묶여 있던 용인 이동·남사읍 일대 토지가 지난 45년 간 묶여 있던 규제에서 풀리게 된다. 이로써 용인의 해당 지역에는 기업 입주는 물론 시민을 위한 주거·문화예술·생활체육 공간 마련 등이 가능해 진다.

송탄 상수원보호구역 내 용인지역 토지는 용인시 전체 면적의 10.9%에 해당하는 6만4432㎢로, 오산시 전체 면적의 1.5배나 된다.

용인시는 시스템반도체 국가산단의 원활한 조성을 위해 상수원보호구역 해제가 시급하다고 보고 그동안 국토교통부, 환경부, 평택시 등과 긴밀하게 협의해 온 바 있다.

이상일 시장은 “큰 결단을 해주신 정장선 평택시장님과 상수원보호구역 해제를 위해 많이 도와주신 정부·경기도·삼성전자·LH의 모든 분들께 깊은 감사의 뜻을 전한다”면서 “이번 협약은 나라의 미래를 좌우하는 반도체산업 발전의 밑거름이 될 뿐 아니라 규제로 고통받던 용인의 해당 지역 발전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용인=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