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5일 장기화되고 있는 의정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여야와 정부, 의료계, 시민사회가 함께 참여하는 ‘보건의료계 공론화 특별위원회’ 구성을 거듭 제안했다. 4·10 총선 이후 여야 협치의 출발점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사회적인 대타협안을 마련하고 시급한 의료대란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여당의 대승적인 결단을 촉구한다”며 “정부는 대화를, 의료계는 복귀를, 전체적으로 실효적 대책을 갖고 논의해야 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선거 전인 지난 4일에도 페이스북을 통해 “총선이 끝나는 대로 여당과 협의해 국회에 관련 특위를 구성하고 의료 공백과 혼란을 종식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일 대국민 담화에서 국무총리실과 보건복지부 등 정부 부처와 의료계 등이 참여하는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 구성을 제안했다. 이 대표는 여기에 야당과 시민사회 참여를 요구한 것이다. 이 대표는 “정부는 특정 숫자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대화에 나서야 한다”며 “의료계 역시 즉각 현장에 복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 대표는 총선 이후 거론되는 신임 국무총리와 대통령 비서실장 등 여권의 인적 쇄신 추진에 대해선 날을 세웠다. 그는 “하마평에 오르고 있는 분들의 면면을 보면 대통령께서 과연 총선 민의를 수용할 생각을 갖고 계시는지 상당히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정부는 이번 인사 개편을 그동안의 국정 실패를 반성하고 국정 기조 전반을 전환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며 “주권자인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합리적이고 실효적인 쇄신책을 마련하시기를 당부드린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민생 살리기에 정치가 제 역할을 하라는 것이 이번 총선 민의”라며 “대통령과 정부 여당 역시 오로지 민생에만 국정 동력을 집중해야 할 것이다. 4월 10일 이전의 국정과 그 이후의 국정은 완전히 달라져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