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5대 궁과 종묘에서 펼쳐지는 궁중문화축전이 올해 10주년을 맞았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와 한국문화재재단은 27일부터 5월 5일까지 ‘2024 봄 궁중문화축전’을 연다고 4일 밝혔다.
서울의 5대 고궁인 경복궁·창덕궁·덕수궁·창경궁·경희궁과 종묘 일대에서 봄·가을에 열리는 궁중문화축전은 다양한 전통문화 활용 콘텐츠를 선보여온 국내 최대 문화유산 축제다. 지난해의 경우 봄·가을 2회, 15일에 걸친 축전에 총 67만 5000여 명의 관객이 방문했다.
올해 10주년을 맞은 축전은 ‘함께한 궁중문화 함께할 국가유산’을 주제로 다채로운 전통문화 체험과 전시, 공연을 선보일 예정이다. 축전은 행사를 하루 앞둔 26일 오후 경복궁 근정전에서 열리는 개막제로 시작을 알린다. 선 최고의 성군으로 꼽히는 세종(재위 1418∼1450)이 훈민정음을 반포한 1446년으로 돌아간 것처럼 연출하는 개막제는 축전 10년의 역사를 되돌아보며 새 출발을 알릴 예정이다. 개막제 연출을 맡은 박동우 홍익대 공연예술대학원 교수는 “궁이라는 훌륭한 하드웨어에 다채로운 소프트웨어를 더해 살아있는 문화유산의 모습을 보여주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궁마다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펼쳐진다. 경복궁에서는 다양한 궁중 일상을 체험해 보는 ‘궁중 새내기’ 등 4개의 관객 참여형 프로그램 ‘시간여행, 세종(5.1~5.5, 경복궁 전역)’을 선보인다. 이와 함께 경복궁의 대표 장소를 산책하는 모습을 재현한 ‘왕가의 산책’ 등을 관람할 수 있다. 또한, 100명의 정통음악 연주자가 모인 ‘고궁음악회-100인의 치세지음(治世之音)(5.4~5.5, 경복궁 근정전)’와 지난해 봄 궁중문화축전에서 전 회차 매진을 기록한 ‘고궁뮤지컬-세종, 1446(4.28~4.30, 경복궁 근정전)’이 다시 한번 찾아온다. 무형유산 전승자의 공예품부터 전통문화상품 등을 구입할 수 있는 야외 시장 ‘K-헤리티지 마켓(K-Heritage Market, 4.27.~5.5, 경복궁 흥례문 광장)’도 축전 기간 중 상시 운영된다.
창덕궁에서는 궁중문화축전 최초의 전통공예 전시인 ‘공생: 시공간의 중첩(4.27.~5.5, 창덕궁 전역)’이 준비된다. 그리고 ‘궁궐 걷는 법’의 저자 이시우 작가의 해설과 함께 창덕궁 곳곳을 아침에 산책하는 ‘아침 궁을 깨우다(4.29~5.3)’ 프로그램도 선보인다.
덕수궁에서는 ‘황실취미회(4.27.~5.5, 덕수궁 정관헌)’ 상설 프로그램이 열린다. ‘가배(커피)’, ‘옥돌(당구)’, ‘음악’ 등 고종이 사랑한 취미 생활을 체험할 수 있다.
창경궁에서는 어린이 관람객을 위한 ‘어린이 궁중문화축전(5.1~5.5)’이 개최된다. 조선시대의 다양한 직업들을 체험할 수 있다. 특히 올해는 야간탐방 프로그램인 ‘창경궁 물빛연화(4.27~5.5, 창경궁 춘당지 일원)’ 프로그램이 첫선을 보인다.
경희궁에서는 서울역사박물관의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해 경희궁의 역사와 구조를 살펴볼 수 있는 ‘경희궁을 만나다(5.1~5.5)’가 진행된다.
사전예약 프로그램 예매는 오는 5일 오후 12시부터 티켓링크에서 선착순 판매된다. 유료프로그램 ‘고궁 뮤지컬-세종, 1446’, ‘고궁음악회-100인의 치세지음’, ‘시간여행, 세종’, ‘아침 궁을 깨우다’는 회당 800석, 700석, 160석, 50석으로 운영된다. 개막제와 어린이 궁중문화축전은 무료지만 사전 예약을 해야 한다. 이번 축전 기간 5대궁 무제한 방문 특별 관람권 ‘궁패스’는 오는 26일까지 1만 장 한정 사전 판매 중이다.
장지영 선임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