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을 이탈한 전공의들에 대한 윤석열 대통령의 대화 제안에 40일 넘게 침묵해온 전공의들이 나설지 관심이 쏠린다.
4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의료계에서는 윤 대통령의 연이은 대화 제안에 대한의사협회(의협)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일단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의협 측은 대통령과 전공의들의 만남 가능성을 두고 “긍정적으로 예상한다”며 “지난주 의협 비대위에서 제안한 대통령-전공의 직접 만남을 진행하겠다는 것은 환영할 일”이라고 평가했다.
일각에서는 전공의들이 섣불리 대통령과 대화에 나서서는 안 된다는 우려도 있다. 전공의들이 주장해온 의대 증원 및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백지화부터 이끌어내야 한다는 것이다.
윤 대통령과 전공의 간 대화 가능성이 나오는 상황에도 의대 교수들의 사직 행렬은 계속되고 있다. 강원대병원 교수들은 이날까지 내과 의국에 마련된 사직서함에 자발적으로 사직서를 낼 예정이다.
단국대병원에서는 전임 교수의 약 60%인 80여명의 교수가 사직서를 냈다. 전공의 이탈이 장기화하면서 남은 교수들의 피로가 누적되자 일부 병원에서는 응급실 순환 당직제 논의를 시작했다. 순환 당직제가 시행되면 응급환자를 당직 병원이 맡아주고, 다른 병원은 담당 의료진에게 휴식을 줄 수 있다.
대형병원의 주52시간 근무와 개인 병·의원의 주40시간 근무 등 진료 축소는 이날도 이어진다. 분당서울대병원에서는 소속의 교수들이 외래 진료 일정을 뒤로 연기해 달라고 병원 측에 요청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