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힌두교, 기독교인에 대한 폭력 자행하도록 용기 얻어”

입력 2024-04-03 15:58
지난해 5월 방화 피해를 입은 인도의 쿠키족 교회 건물. 국민일보DB

힌두 민족주의가 성장함에 따라 기독교에 대한 공격이 급증하고 있다. 한국오픈도어선교회가 지난 1월 발표한 ‘2024 월드와치리스트’에서 전 세계 기독교 박해 국가 11위에 꼽힌 인도 기독교 상황이다.

인도복음주의협회(EFI·Evangelical Fellowship of India)는 최근 발표한 ‘인도복음주의 종교자유위원회(EFI-RLC) 보고서’에서 “강제 개종을 한다는 비난과 싸우고 있는 인도 교회는 기독교에 대한 심각한 위협과 공격에 직면해있다”고 지적했다. EFI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에서 발생한 반기독교 폭력 사건은 2022년 413건에서 지난해 601건으로 45%나 증가했다.

EFI 사무총장 비자예쉬 랄은 “헌법 보호와 인도의 오랜 종교 다양성이라는 전통에도 불구하고 사회 일부가 종교 소수자 특히 기독교인에 대한 폭력과 차별 행위를 자행하도록 용기를 얻었다”고 지적했다.

인도에는 2800여만명 크리스천이 있는데 인도 14억명 중 약 2%에 해당한다. 보고서는 기독교인에 대한 공격의 대부분은 위협과 괴롭힘(201건)으로 분류됐으며 뒤를 이어 거짓 고발과 그에 따른 체포 차례가 146건에 달한다고 했다.

인도의 가장 큰 주이자 정치적으로 중요한 지역인 우타르프라데시주는 275건으로 가장 많은 사건을 기록했다. 이 주는 실질적 증거가 부족함에도 강제 개종 혐의로 목사와 신자들을 체포하는 데 앞장선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 힌두교에서 개종한 기독교인은 실직 등의 차별을 당하고 신체적 공격뿐 아니라 살해 위협에까지 노출돼 있다. EFI는 “인도 극단주의자들은 기독교 공동체에 두려움과 혼란을 조성하기 위해 그들을 가족과 함께 표적으로 삼는다”며 “교회 지도자들은 인도 내 많은 지역에서 위험에 처해있다”고 했다.

힌두 민족주의자들은 기독교인들이 강압 때문에 강제 개종한다는 거짓 비난을 일삼고 이런 주장을 폭력의 구실로 사용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런 혐의는 달리트 아디바시스 등 취약 계층에 대한 폭력과 차별을 부채질한다는 것이다.

현재 인도 28개 중 10개 주(오디샤 마디아프라데시 차티스가르 구자라트 자르칸드 히마찰프라데시 우타르프라데시 우타라칸드 카르나타카 하리아나)에서는 개종 금지법을 시행 중이다. 10개 중 6개 주는 힌두 민족주의자인 바라티야 자나타당(BJP)의 영향력이 강하다. BJP 지도부의 정책과 행동을 우려한 EFI는 종교적 소수자가 보호받을 수 있게 해달라고 호소했다.

랄 사무총장은 “누구도 믿음 때문에 다른 이의 표적이 되거나 박해를 받아선 안 된다”며 “다른 이를 향한 증오는 결국 우리 모두에게 해를 끼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아영 기자 sing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