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들이 전기차 상용화 추세에 맞춰 더 효율적인 충전부터 신속한 화재 진압까지 관련 인프라 개발을 위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DL이앤씨는 부산 소재 선박 기자재 전문 중소기업 탱크테크와 손잡고 건물용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전기차 화재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진압 장비를 투입해 재빨리 불을 끄는 방식이다.
이 장비는 전기차 바닥에 드릴로 구멍을 뚫은 뒤 배터리팩에 직접 물을 쏘는 기술이 특징이다. 드릴은 별도 전원 공급 없이 강한 수압만으로 터빈을 돌려 작동한다. 차체 하부와 배터리팩을 뚫고 물을 분사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은 2분에 불과하다. 전기차 배터리는 보호팩으로 덮여 있어 일반적인 소화 방법으로 진압하기 매우 어렵다고 한다.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세워진 전기차에서 불이 나면 24시간 작동하는 중앙관제 시스템이 주차면에 깔린 레일을 통해 화재 차량 아래로 진압 장비를 보낸다. 이 장비는 시공 여건에 따라 주차면 바닥에 매립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진압 장비가 화재 장소로 이동할 필요 없이 해당 주차면에서 바로 진화 작업을 하게 된다. 바닥에 레일을 깔거나 묻지 않고 소화전처럼 보관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엔 사람이 직접 장비를 화재 장소로 옮긴 뒤 작동시켜야 한다.
새 시스템은 리튬이온과 리튬인산철 등 배터리 종류와 상관없이 10분이면 화재를 완전히 진압할 수 있다고 DL이앤씨는 설명했다. 전기차 화재는 일반적인 소화 장비로는 최소 1시간, 길게는 8시간까지 걸린다. 기존 진화 방식은 소방대원이 직접 화재 차량에 접근해야 하는 데다 재발화 가능성도 높아 대규모 재난으로 확대될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전기차는 화재 발생 시 배터리 온도가 1000도 이상으로 급상승하는 ‘열 폭주’ 현상을 보일 수 있다.
DL이앤씨 관계자는 “최근 전기차 화재 우려로 일부 아파트와 관공서에서 전기차의 지하주차장 출입을 금지하거나 충전을 막아 분쟁이 발생하고 있다”며 “새로 개발한 시스템을 적용하면 건축물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전기차 화재에 대한 불안을 해소해 불필요한 사회적 분쟁까지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L이앤씨는 이 시스템을 ‘e편한세상’ 아파트 신축 현장에 시범 적용한 뒤 국내·외 아파트와 일반 건축물, 관공서 등으로 판매를 확대할 계획이다. 현대차 생산공장과 일부 지역 소방서는 이미 제품을 납품받아 활용 중이다.
한화 건설부문은 지난해 LG유플러스와 국내 최초 천장형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개발해 정식 출시했다. 지하주차장 천장에 설치된 충전기 하나로 전기차 3대까지 동시에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주차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한화 건설부문 관계자는 “기존 주차공간을 줄이지 않고 설치할 수 있어 전기차 충전시스템의 문제점으로 지적돼왔던 주차 공간부족 문제의 대안이 될 수 있다”며 “이미 준공된 단지에도 위치 제한 없이 설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대엔지니어링도 발 빠르게 전담팀을 꾸리고 전기차 충전 관련 사업에 뛰어들었다. 2020년 9월 전기자동차 충전 사업 등록을 마친 데 이어 지난해와 올해 2년 연속 환경부 주관 ‘전기차 충전 보조금 지원 사업자’로 선정됐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올해 전기차 충전소 누적 운영 규모를 7000여대로 확대할 계획이다. 지난해에만 약 4500여대를 계약했다. 이밖에도 수익성 기반 CPO(전기차 충전 운영) 사업을 선별해 추진하고 전기버스 인프라 구축, 전기차 충전 서비스 유지 관리 사업 참여 등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며 안정적인 사업 기반을 다진다는 방침이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전기차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꾸준히 성장해 나갈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전기차 충전시설 운영사업자로서 관련 인프라 확충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으로 진출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