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계 온라인 쇼핑몰이 한국 시장에 상륙하면서 이와 관련한 소비자 불만도 급증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9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해 접수된 국제거래 소비자 상담 건수는 1만9418건으로, 전년(1만6608건) 대비 16.9% 늘었다.
유형별로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직접 물품과 서비스를 구매하는 해외 직접거래와 관련한 소비자 상담이 1만1798건(60.8%)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물품 직접거래 관련 상담은 전년보다 136.1% 급증했다.
특히 알리익스프레스와 관련한 상담 건수는 2022년 228건에서 지난해 673건으로 늘었다. 품목별로는 항공권·항공 서비스 5254건(27.7%), 의류·신발 4665건(24.6%), 숙박 2331건(12.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불만 이유는 취소·환급 등의 지연·거부가 7521건(38.7%)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미배송·배송 지연·오배송 등 배송 관련 불만 2647건(13.6), 위약금·수수료 부당 청구·가격 불만 2271건(11.7%) 등으로 조사됐다.
해외 사업자를 소재국별로 분류해 살펴보면, 중국에 거점이 있는 사업자에 관한 불만이 눈에 띈다. 본사 소재지가 확인된 상담 건수 8604건 가운데 싱가포르가 2958건(34.4%)으로 가장 많았다. 그다음은 중국(홍콩) 1161건(13.5%), 미국 1047건(12.2%), 말레이시아 608건(7.1%), 체코 427건(5.0%) 등의 순이었다.
소비자원은 피해를 예방하려면 거래 전 판매자 정보와 거래조건, 사기 의심 사이트 등록 여부 등을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피해가 원만하게 해결되지 않으면 ‘국제거래 소비자포털’(crossborder.kca.go.kr)에 도움을 청할 수도 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