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은행 연체율이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금융 당국은 지난해 말 크게 떨어졌던 연체율 상승세가 더 이어질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2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1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이 전달 말(0.38%) 대비 0.07%포인트 오른 0.45%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기준 전달보다 0.08%포인트 하락했던 연체율이 다시 상승 반전한 것이다. 1월 말 연체율이 지난해 11월 말(0.46%) 수준으로, 연말 하락에 따른 기저효과라는 게 금감원 설명이다.
1월 중 신규 연체 발생액이 2조9000억원으로 전월(2조2000억원) 대비 7000억원 늘었다. 연체채권 정리 규모는 1조3000억원으로 전달(4조1000억원) 보다 2조7000억원 감소했다.
부문별로는 가계대출 연체율이 0.38%로, 전월 말(0.35%)보다 0.03%포인트 올랐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이 0.02%포인트 상승했고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신용대출 등) 연체율은 0.08%포인트 상승해 0.74%를 기록했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중소기업대출 연체율(0.60%)이 0.12%포인트나 오른 여파로 전월 말(0.41%) 대비 0.09%포인트 상승해 0.50%로 집계됐다. 대기업대출 연체율(0.12%)은 전월 말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금감원은 신규 연체율이 작년 하반기 이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향후 연체율 상승세가 지속될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금감원은 “연체·부실채권 상·매각, 취약차주에 대한 채무조정 활성화 등을 통해 은행권이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도록 지도하는 한편 대손충당금 적립을 확대하도록 하는 등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지속적으로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