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당진 석문간척지에 수산 식품 집적단지와 정보통신기술(ICT)·인공지능(AI) 기반 최첨단 양식단지 조성에 나선다.
장진원 도 해양수산국장은 28일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수신식품 클러스터와 충남형 스마트 양식단지 조성 사업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도는 당진 석문산단 수산단지 일원 9만1406㎡의 부지에 2028년까지 1900억원을 투입해 수산식품 클러스터를 조성할 계획이다. 국내산 새우 전문 가공 시설인 ‘스마트 가공처리센터’와 수산식품 기업 지원 시설인 ‘블루푸드 벤처혁신센터’, 냉장·냉동창고를 제공하는 ‘상생형 저장물류센터’ 등이 들어선다.
수산식품 클러스터를 조성하기 위해 지난 1월 예비 타당성 조사 대상으로 해양수산부에 신청서를 제출했고, 연내 예타 대상으로 선정되면 내년 예타에 도전할 계획이다. 예타를 통과하면 기본·실시설계와 공사 등을 거쳐 2028년 문을 연다.
수산식품 클러스터를 통한 생산유발 효과는 1799억원, 부가가치 유발 효과는 733억원, 취업 유발 효과는 1062명으로 추산된다. LNG 냉열 활용에 따라 연간 8억3000만원의 에너지 비용 절감과 940t의 온실가스 저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도는 또 석문간척지 일원 14만5000㎡의 부지에 2027년까지 400억원을 투입해 스마트 양식단지를 조성할 예정이다. 간척지를 농업이 아닌 어업에서 활용하는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충남형 스마트 양식단지에는 순환여과식과 바이오플락 양식 시스템이 적용돼 항생제 없는 친환경 양식과 품종 변환이 가능하다. ICT와 AI 등을 적용해 수온이나 염분, 수질 등을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원격으로 제어하는 시스템도 구축한다.
도는 올해 스마트 양식단지 조성 사업에 쓰일 국비 100억원을 우선 확보했고, 연내 사업계획을 수립해 실시설계를 진행할 예정이다. 2026년까지 양식단지를 조성해 김이나 새우, 연어 등 양식 품종을 육성한 뒤 2027년까지 청년·창업 임대형 양식단지 조성을 추진한다.
도는 스마트 양식단지가 완공되면 연어 105t, 흰다리새우 150t을 생산하고, 생산 유발 809억원, 부가가치 유발 320억원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장진원 국장은 “앞으로 수산업의 미래산업화와 수출산업화 등 획기적인 변화와 발전을 위해 각종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성=김성준 기자 ks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