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졸 신규 입사자 4명 중 1명은 경력이 있는 ‘중고 신입’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신입보다 업무에 즉시 투입 가능한 실무형 인재를 선호하면서 경력직의 신규 입사 비중이 늘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123개사 응답)을 대상으로 실시한 ‘채용 동향·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난해 대졸 신규 입사자 25.7%가 중고 신입으로 조사됐다고 28일 밝혔다. 2022년 대졸 신규 입사자의 중고 신입 비중(22.1%)보다 3.6%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중고 신입 평균 경력 기간은 1년 4개월이었다. 1∼2년의 경력을 보유한 이들이 52.6%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그 뒤로 6개월∼1년(32.8%), 2∼3년(6%), 3년 이상(5.2%), 6개월 미만(3.4%) 순이었다.
한경협은 “경영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기업들이 신입사원 교육에 드는 비용을 최소화하고자 한다”며 올해 채용시장에서도 중고 신입을 선호하는 분위기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또 올해 채용에서는 기업들의 인공지능(AI) 활용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 응답 기업의 40.7%는 상반기 신규채용 과정에서 AI를 이미 활용하고 있거나 추후 활용을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해보다 60% 상승한 것이다.
채용 전형의 어떤 단계에서 AI를 활용 중인지 혹은 활용할 계획인지를 묻는 질문에 전체 응답 기업의 62.3%는 서류전형을 꼽았다. 그 뒤로 실무면접 및 토론단계(29.5%), 임원면접(8.2%) 순이었다.
한경협은 “AI 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채용은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해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며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원자의 직무적합도를 객관적이고 심층적으로 분석해 선발의 공정성과 효과성을 제고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공개채용보다 수시 채용 방식을 활용하겠다는 기업 비율도 늘었다. 기업 10곳 중 6곳(58.5%)은 올해 상반기 대졸 신규 채용에서 수시 채용 방식을 활용하겠다고 답했다. 작년 상반기 응답률(57.1%)보다 1.4%포인트 늘었다.
기업들은 신규 채용과 관련한 애로사항으로 ‘적합한 인재를 찾기 어려움’(27.2%)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채용 후 조기 퇴사자 발생’(24.9%), ‘채용 과정에서 이탈자 발생’(21.1%) 등 순으로 답변이 많았다.
최다희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