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이 이번에도 불발됐다.
WGBI를 관리하는 영국 파이낸셜타임스 스톡익스체인지(FTSE) 러셀은 27일(현지시간) FTSE 채권시장 국가분류를 발표하면서 한국의 국채지수 관찰대상국 지위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이는 세계국채지수 편입을 유보한다는 의미다.
FTSE 러셀은 “한국은 2022년 9월 시장 접근성 레벨 2로의 상향 가능성과 FTSE WGBI 편입 고려를 위한 관찰대상국에 올랐다”며 “현지 시장 당국은 국제 투자자들의 한국 국채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계획을 계속 진전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접근성 개선 노력의 사례로 국제예탁결제기구(ICSD)인 유로클리어·클리어스트림과 국채통합계좌 구축 추진, 외국 금융기관(RFI)의 한국시장 참여 허용, 외환시장 제도개선 등을 거론했다.
이 같은 제도 개선이 하반기 본격화하는 데다 관찰대상국 등재 이후 최종 편입까지 통상 2년가량 소요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올해 9월에는 편입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FTSE 러셀은 국채 발행 규모, 국가신용등급, 시장 접근성 등을 따져 통상 3월과 9월 WGBI 편입 여부를 정기적으로 결정한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기준 세계 10대국 가운데 WGBI에 편입되지 않은 나라는 한국과 인도뿐이다.
WGBI는 세계 3대 채권지수로 미국, 영국, 캐나다, 일본 등 주요 24개국 국채가 편입돼 있다. 추종 자금은 약 2조5000억 달러(약 3300조원)로 추산된다.
한국이 WGBI에 편입하면 한국 국채의 신뢰도가 높아져 WGBI 지수를 추종하는 외국계 투자자금이 유입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메리츠증권에 따르면 WGBI에 편입 시 국내 국채시장에 600억 달러(80조원)의 자금이 유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