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27일 전날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의 “일본 측과의 그 어떤 접촉도, 교섭도 외면하고 거부할 것”이란 입장과 관련해 직접적 비판을 자제하는 모습을 보였다.
일본 마이니치신문 등 현지 언론은 일본 정부 대변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이 이날 기자회견에서 전날 김정은 국무위원장 친동생인 김 부부장의 담화와 관련해 “이전부터 말해온 ‘납치 문제가 해결됐다는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대신 “북일 간 여러 현안에 대한 일본 정부의 방침은 반복해 설명해온 그대로다”라는 말만 반복 사용했다. 또 기자단에서 “‘납치문제가 해결됐다는 북한 주장은 전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는 것인가”라고 질문했음에도 “정부 방침은 지금까지 반복해 설명해온 대로”라고만 답했다.
교도통신은 “북한 측의 강경한 태도를 고려해 직접적 비판을 피하려는 모양새”라고 분석했다.
김 부부장은 지난 25일 담화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김정은 조선노동당 총서기와 회담하고 싶다는 의사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하야시 장관이 당일 회견에서 “납치문제가 이미 해결됐다는 주장은 전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김 부부장은 이 발언에 대해서도 “일본은 새로운 북일 관계의 첫 발을 내디딜 용기가 없다”고 비판하며 어떤 접촉이나 교섭도 거부하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하야시 장관이 말한 일본 정부 방침은 2002년 9월 17일 고이즈미 준이치로 당시 총리가 북한을 방문해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회담 후 발표한 내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당시 북일평양선언에 따라 북한과 납치, 핵, 미사일 등 여러 현안을 포괄적으로 해결한다고 했었다.
해당 선언에는 국교 정상화 회담 추진과 과거사 반성에 기초한 보상, (납치 등) 유감스러운 문제의 재발 방지, 핵 및 미사일 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관계 구축 4개항이 담겼다.
하야시 장관은 일본인 납치 문제와 관련해 “납치 피해자 가족도 고령이 됐고, 납치 문제는 한시도 소홀히 할 수 없는 인도적 문제”라며 “모든 납치 피해자가 하루빨리 귀국할 수 있게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 생각을 바탕으로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정상회담을 실현하기 위해 총리 직할 고위급 협의를 추진하겠다’고 밝혀왔다”고 강조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