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5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별도 경로로 북일 정상회담을 제의했다는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 주장에 “긴밀히 소통 중”이라고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북일과의 접촉을 포함해 북핵과 북한 문제에 대해 일본과 긴밀히 소통하고 있다”며 “한미일은 북한을 비핵화의 길로 복귀시키기 위해 공조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북일 접촉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할 사항이 아니다”라고 전했다.
앞서 김 부부장은 이날 조선중앙통신에 공개한 담화에서 “최근 기시다 수상이 또다른 경로로 가능한 빠른 시기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장을 직접 만나고 싶다는 의향을 전해왔다”고 밝혔다.
다만 “일본이 지금처럼 우리의 주권적 권리행사에 간섭하려 들고 더이상 해결할 것도, 알 재간도 없는 납치 문제에 의연 골몰한다면 수상의 구상이 인기 끌기에 불과하다는 평판을 피할수 없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북한이 무기 개발 및 납북자 문제를 거론하지 말 것을 거듭 강조한 대목으로 풀이된다. 일본의 북한에 대한 핵심 관심사가 납북자 문제라는 점에서 북한이 이런 태도를 고수한다면 정상회담 논의가 결실을 맺기 쉽지 않으리라는 관측이 나온다.
일본이 한미일 북핵 공조에서 이탈하기도 쉽지 않다. 한국 외교부 당국이 ‘비핵화 공조’를 강조한 것도 북일 대화 시도가 북핵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방향이어야 한다는 우회적 촉구로 풀이된다.
또한 김 부부장이 담화를 통해 일본을 공개적으로 압박한 것이 역설적으로 양측의 대화가 원활하지 않은 상황을 보여준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한편 기시다 총리는 이날 오후 참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야당 의원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나고 싶어한다고 밝혔다는 보도가 나왔다’고 질의하자 “해당 보도에 대해 알지 못한다”고 답했다.
이어 “이전에 말했듯이 일본과 북한 관계, 납치 문제 등 여러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정상회담이 중요하며 총리 직할 수준에서 북한에 대해 여러 대응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기시다 총리는 지난달 9일 북일 정상회담과 관련해 “여러 활동을 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김 부부장은 같은 달 15일 “기시다 수상이 평양을 방문하는 날이 올 수도 있을 것”이라는 담화를 냈다.
김효빈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