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의·정’ 갈등 중재에 “첫술에 배부를 수 없는 법”

입력 2024-03-25 18:24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인요한 국민의미래 선거대책위원장이 25일 서울 중구 신당동 떡볶이타운 거리에서 만나 인사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25일 의대 증원을 둘러싼 의료계와 정부 간 갈등을 중재하고 나선 것과 관련해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다”면서도 “새로운 시작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르면 26일 의료계 관계자들을 만나 의과대학 정원 증원을 포함한 정부의 의료 개혁 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보완책을 협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윤석열 대통령이 한 총리에게 “의료계를 비롯한 사회 각계와 더욱 긴밀히 소통해 달라”고 당부한 데 따른 것이다.

한 위원장은 25일 한양대에서 열린 서울 현장 중앙선거대책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의·정 갈등과 관련해 “어떻게 한 번에 모든 게 다 끝나겠냐”고 말했다.

한 위원장은 이어 “그분들(의료계)도 한 단체가 아니라 다양한 단체가 있다”면서 “의사 선생님들께 시간이 좀 필요한 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 위원장은 의대 증원 규모 조절 필요성에 대해서는 “정부가 해온 방향성(정원 확대)에 대해선 많은 국민이 동의하고 계실 것”이라면서도 “어떤 방향성을 제가 제시하는 건 혼란을 가져올 것”이라며 말을 아꼈다.

한 위원장은 “이 문제에 있어 건설적 대화의 중재자로서, 그 문제를 조정할 수 있는 사람으로서 정치의 역할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한 위원장은 24일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 회장단과 간담회를 가진 뒤 의료현장을 이탈한 전공의들의 면허정지 행정처분 문제와 관련해 정부에 유연한 처리를 요청하면서 대화의 물꼬를 텄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의·정 갈등’ 중재에 실패할 경우 보름 앞으로 다가온 4·10 총선에서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의대 정원 규모 ‘2000명’ 유지를 놓고서는 여당 내에서는 두 갈래 의견이 분출된다.

당 지도부와 친윤(친윤석열)계 의원들 사이에서는 ‘2000명 증원’ 규모를 고수해야 한다는 입장이 우세하다. 한 친윤계 의원은 “의사가 많이 부족하고, 2000명 정도는 증원해야 한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라고 말했다.

반면 정부의 양보를 촉구하는 목소리도 있다. 안철수 국민의힘 공동선대위원장은 국민일보 통화에서 “정부의 2000명 증원 기조가 바뀌지 않으면 의·정 갈등은 파국으로 치달을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총리실을 중심으로 의료계와의 대화 협의체 구성을 위한 실무 작업에 나섰다.

총리실은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을 비롯해 이른바 ‘빅5’ 병원 등 모든 관련 단체와 접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의·정 대화 협의체가 가동될 경우 미복귀 전공의 면허정지 행정처분 유예 또는 백지화, 의료계 지원책 등이 본격적으로 논의될 전망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경남 창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 위원장의 의·정 갈등 중재와 관련해 “정부에 총리도 있고 보건복지부 장관도 있는데 갑자기 여당 대표가 이 일을 맡게 됐다고 하는 건 약간 이해하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고 정부와 한 위원장을 겨냥했다.

이종선 구자창 김이현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