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 수의과대학을 졸업한 이진아 박사가 하버드 의과대학에서 에이즈 관련 연구를 수행하면서 최근 사이언스지에 관련 논문을 발표해 화제다. 2011년 전남대 수의과대학을 졸업한 이씨는 동 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마쳤다.
이후 2016년부터 하버드 의과대학 부속병원인 메사추세츠 종합병원에서 박사후과정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2018년 하버드 의과대학 바이러스학·백신연구센터의 제임스 휘트니 교수팀에 합류한 이씨는 본격적인 에이즈(AIDS) 관련 연구를 시작했다.
에이즈 완치를 위해서는 체내 T림프구에 감염한 HIV바이러스를 완전히 제거해야만 하는데, 해당 치료법은 아직 개발돼 있지 않다.
HIV는 감염시킨 면역세포를 숙주로 증식한다. 감염 세포 대부분이 증식 과정에서 사멸하지만, 일부가 HIV가 잠복된 상태로 살아남는다. 문제는 비활성화된 감염 세포를 체내 면역계 세포들이 찾을 수 없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체내 자연 제거는 물론, 항바이러스제제를 통한 제거도 불가능하다. 환자가 항바이러스제제 복용을 중단하게 되면, 잠복세포 내에서 비활성 상태로 존재하고 있던 HIV가 활성화되며, 바이러스 증식과 질병 진행이 다시 이뤄지기 때문에 HIV 감염 환자는 평생 항바이러스 제제를 복용해야 한다.
HIV 관련 연구는 인체실험 대신 레서스 원숭이와 원숭이 HIV 바이러스인 SIV 또는 SHIV 모델로 진행됐다. 이씨는 레서스 원숭이에 SHIV를 감염시킨 후, 항바이러스제를 1년 이상 지속적으로 투여해 만성 HIV 감염자의 임상증상 및 면역반응 등을 재현할 수 있는 동물 모델을 만들었다.
이를 통해, 잠복하고 있는 HIV바이러스의 제거하려면 CD8+ T림프구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 IL-15 관련 면역증강제인 N-803라는 물질에 주목해 HIV를 무력화시킬 수 있는 광범위 중화 항체를 동시에 투여하는 방법이 HIV 바이러스 제거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씨는 N-803과 광범위 중화 항체를 동시에 투여한 결과 감염된 원숭이의 70%에서 바이러스가 감소하다가 결국은 완전히 사라지는 현상을 확인했다.
이씨의 연구는 세계적인 과학저널 사이언스지 3월 호에 게재됐다.
이씨는 하버드 의과대학에서 박사후과정 연구원을 마친 후 하버드에서 연구 그룹을 이끌던 제임스 휘트니 박사와 함께 보스턴 칼리지로 옮겨 선임연구원으로서 후속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