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 자사의 지식재산(IP)을 기반으로 담보대출·투자·보증 등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IP금융’ 잔액이 지난해 9조6100억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은 IP금융 잔액이 최근 3년간 연평균 26.5% 증가했다고 25일 밝혔다. 2021년 6조90억원이었던 IP금융 잔액은 2022년 7조7835억원, 지난해 9조610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신규 공급된 IP금융의 규모는 총 3조2406억원이었다. 이중 IP담보대출은 9119억원, IP투자는 1조3365억원이었으며 IP보증은 9922억원을 기록했다.
IP담보대출은 전년 9156억원 대비 소폭 감소했는데, 이는 고금리 기조가 계속되면서 신규 IP담보대출을 실행하려는 유인이 다소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다만 신용등급이 높지 않은 비우량 기업의 IP담보대출 비율이 84.16%를 차지한 만큼 우수한 기술력을 갖춘 저신용기업에게 중요한 자금 공급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됐다.
2022년 처음 1조원을 돌파한 IP투자는 전년대비 3.1% 증가했다. 특허청은 정부가 모태펀드 출자를 통해 IP투자펀드 조성 기반을 구축하고 투자기업을 확대하면 IP투자가 기업성장에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전년도 8781억원 대비 13% 증가한 IP보증은 IP담보대출을 이용하기 어려운 창업 초기기업 등에게 큰 힘이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례로 유선 통신장비 관련 기술력을 보유한 한 업체는 원자재 구입자금 확보를 위해 특허 1건에 대한 IP 보증서를 발급받고 은행에서 3억원을 대출받았다. 이를 통해 납기까지 1년이 넘게 소요되는 원자재를 확보하면서 안정적인 매출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목성호 특허청 산업재산정책국장은 “기업들은 IP에 잠재된 미래가치를 IP금융을 통해 현실화할 수 있다”며 “혁신기업들이 지식재산 금융을 발판삼아 자금을 원활하게 조달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