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휘감는 위기론…‘이종섭 사태’ 스텝 꼬이고, 巨野의 압박

입력 2024-03-22 16:55 수정 2024-03-22 17:05
‘해병대 채 상병 사망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의 핵심인 이종섭 주호주대사가 지난 21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하고 있다. 연합뉴스

‘4·10 총선’을 20일도 안 남긴 상황에서 여권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해병대 채 상병 사망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의 핵심인 이종섭 호주대사가 귀국했지만 이를 고리로 야권 공세는 거세다. 여론조사에서 여당에 불리한 신호들이 잇달아 감지되는 중이다.

‘도주 출국’ 논란을 피하기 위해 이 대사를 조기 귀국시키고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조속한 수사를 촉구해온 여당 구상은 차질을 빚고 있다. 공수처는 22일 입장문을 내고 “압수물 등에 대한 디지털포렌식 및 자료 분석 작업이 종료되지 않은 점, 참고인 등에 대한 조사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은 점 등을 고려할 때 (이 대사의) 소환조사는 당분간 어렵다”고 밝혔다.

이 대사 귀국을 계기로 윤석열 대통령을 겨냥한 야권의 공세 수위는 높아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윤 대통령과 대통령실 관계자들을 공수처에 고발했다.

민주당 법률위원회는 대통령실에서 지난 18일 ‘이 대사가 법무부뿐 아니라 공수처에서도 출국 허락을 받고 호주로 부임했다’는 취지의 보도자료를 낸 걸 두고 “대통령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만들어진 명백한 허위공문서”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과 대통령실 관계자를 형법 227조(허위공문서작성) 및 229조(위조공문서의 행사) 위반 혐의로 공수처에 고발했다고 말했다.

박주민(왼쪽에서 세번째)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가 22일 정부과천청사 앞에서 이종섭 주호주 대사의 ‘도피 출국’ 논란과 관련해 허위공문서를 작성한 혐의로 윤석열 대통령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고발한다는 내용의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시스

조국혁신당도 검찰이 압수수색 영장에 포함되지 않은 개인의 스마트폰 정보를 별도 서버에 저장해 불법 수집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윤 대통령, 이원석 검찰총장 등을 직권남용 및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등으로 공수처에 고발하며 민주당의 공세에 보조를 맞췄다.

여당 내에선 이 대사의 자진사퇴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나경원 국민의힘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은 22일 KBS라디오에 출연해 “이 대사가 국민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노력을 조금 더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기 수원정 국민의힘 후보인 이수정 경기대 교수도 SBS라디오에서 이 대사 거취에 대한 질문을 받자 “지금 이 시점에서 사퇴 여부는 본인이 결정해야 한다”며 자진사퇴에 힘을 실었다.

나경원 국민의힘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이 22일 국회에서 서울지역 출마 후보자들과 서울교통망 관련 정책을 발표한 뒤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잇따른 논란은 대통령 지지율을 끌어내렸다. 한국갤럽이 지난 19~21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1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를 한 결과, 윤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는 34%로 집계됐다. 2주 전인 3월 첫 주 조사에서 긍정 평가는 39%였지만, 지난주 36%에 이어 2주 연속 하락했다. 반면 윤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한 부정 평가는 3월 첫 주 54%에서 지난주 57%, 이번 주 58%로 2주 연속 올랐다.

총선에서 ‘현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여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정부 지원론)’는 응답과 ‘현 정부를 견제하기 위해 야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정부 견제론)’는 답변은 각각 36%, 51%였다. 정부 지원론이 40%, 정부 견제론이 49%였던 지난주보다 격차가 더 벌어졌다(여론조사 관련 자세한 사항은 중앙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

이종선 박장군 양한주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