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 청년친화도시 목표로 청년정책 5대 분야 68개 사업 399억 투입

입력 2024-03-21 13:31
21일 창원시청 프레스센터에서 최영숙 청년정책담당관이 ‘청년정책 시행계획’에 대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창원시 제공

경남 창원시는 국무조정실에서 지정하는 ‘청년친화도시’ 선정을 목표로 올해 청년정책을 본격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

‘청년친화도시’는 지난 12월 정부가 발표한 계획에 따라 올해부터 해마다 3~5개 지자체를 청년친화도시로 지정해 최대 5년간 행·재정적 지원을 제공한다.

이에 시는 최근 창원시의회 의결을 거쳐 ‘창원시 청년친화도시 조성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올해 청년정책 추진방향으로 ‘청년친화도시 선정’을 목표로 잡았다.

시가 수립한 올해 ‘청년정책 시행계획’에 따르면 25개 부서에서 399억원 규모 5대 분야(일자리·교육, 문화, 주거, 생활, 조직·참여) 68개 사업을 추진해 ‘청년친화도시’에 지정될 수 있도록 밑거름을 다진다는 계획이다.

시는 먼저 일자리·교육으로 시 주력산업 맞춤형 청년인재 확보에 23개 사업, 140억8000만원을 투입해 신산업 연계 청년 일자리 사업을 디지털, 반도체 등에 이어 항만, 물류까지 넓히고, 교육발전특구 지정, 글로컬대학30 선정 등 지원을 강화한다.

또 청년이 모여드는 문화도시 조성에 10개 사업, 54억5000만원을 투입, 지난해 경남도 공모사업에 선정된 ‘청년 문화의 거리 조성’을 통한 청년예술인을 위한 문화공간 인프라 육성과 청년꿈터 지원 등 청년의 활동과 문화교류 활성화를 한다.

이 외 청년 주거안정 지원 강화에 9개 사업, 48억7000만원을 투입해 청년월세 지원과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 등 무주택 청년·신혼부부를 대상으로 한 주거비 지원사업과 1인가구 안심주택 공급으로 안정적인 주거환경 조성 추진에 박차를 가한다.

또 시는 취약청년 발굴과 생활지원 확대를 위해 22개 사업, 148억1000만원을 투입해 청년 연령 확대와 함께 사회적 관심과 정서 돌봄이 필요한 취약청년 발굴 등 청년지원 사각지대 해소에 주력하고, 자격증 응시료 지원 등 청년들의 만족도가 높은 사업을 확대한다.

마지막으로 조직·참여 확대로 청년 참여역량 기반 강화에 4개 사업, 6억8000만원을 투입, 청년의 정책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시가 운영하는 각종 위원회에 청년위원 위촉 비율을 현재 20%에서 오는 2026년까지 40% 이상 달성과 창원청년 프로젝트, 청년네트워크 운영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최영숙 창원시 청년정책담당관은 “올해 청년정책 시행계획을 내실 있게 추진해 청년이 만족하고 모여드는 도시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