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2037년 전력자립도 100% 달성한다

입력 2024-03-20 15:05

대전시가 2037년까지 전력자립도 100%를 달성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시는 20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한국동서발전·한국서부발전과 ‘교촌 국가산단 등 친환경발전소 건설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유성구 교촌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등에 대한 안정적인 전력공급과 대전의 전력 자립도 향상을 위해 마련됐다.

각 기관은 액화천연가스(LNG)와 수소를 혼합 연소하는 방식의 500㎿급 친환경발전소 4기를 2037년까지 단계적으로 건설하게 된다.

시는 교촌산단을 포함한 대전의 전력 자립을 위해 교촌산단 내 39만6000㎡ 부지를 대상으로 발전소 건설 관련 타당성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발전소를 건설하려면 발전 물량이 필수인 만큼 시는 친환경발전으로 전환되는 발전소들과 협의를 거쳐 500㎿급 석탄화력발전 3기의 연료전환 물량을 확보한 상태다. 이에 따라 2036년 500㎿급 1기, 2037년에는 500급 2기를 각각 준공한다는 방침이다.

여기에 2026년까지 산업부 전력수급기본계획에 500㎿ 발전소 1기를 신규 반영되도록 한 뒤 2032년 준공한다는 계획이다.

발전소 건설에는 실 공사 기간 3년을 포함해 약 10년이 소요되고 2조9000억원 규모의 발전 설비금이 투입될 전망이다. 발전소가 모두 완성되면 2021년 1.87%에 그쳤던 대전의 전력 자립도가 2037년 102%까지 대폭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발전소 건설 기간에는 54만개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되고 30년간 총 666억원이 발전소 주변 지역에 지원될 예정이다.

김영문 한국동서발전 사장은 “나노·반도체 특화산업 활성화를 위해 안정적인 전력공급은 필수”라며 “대전의 미래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친환경발전소 건설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형덕 한국서부발전 사장은 “서부발전은 최근 국내 최초 한국형 가스터빈을 적용한 김포 열병합발전소를 성공적으로 준공했다”며 “대전의 전력자립도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일류경제도시 조성의 초석이 될 발전소 건설에 협력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발전소가 차질 없이 건설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하자”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