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매년 1004명씩 늘리자”…의대 교수 중재안

입력 2024-03-19 21:27 수정 2024-03-19 21:47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사직서를 내고 근무현장을 이탈한 지 한 달이 넘은 가운데 19일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을 찾은 시민이 고개를 숙이고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대한외전증센터학회 회장이 의대 정원을 5년간 2000명씩 늘리는 정부안 대신 10년간 매년 1004명씩 증원하자는 제안을 내놨다.

홍승봉 대한뇌전증센터학회 회장은 19일 언론에 이메일을 보내 “정부의 5년 동안 2000명씩 의대 증원 계획 대신 10년 동안 의료시스템이 한국과 비슷한 미국, 일본, 대만 의대정원의 평균값인 1004명 증원으로 속도를 조절하고, 5년 후에 필수의료와 지방의료 상황을 재평가해 의대 정원 증가·감소를 다시 결정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적정 의대 정원은 정부, 의사단체, 보건 전문가들 사이에 너무 달라서 의료시스템이 한국과 비슷한 나라들의 현황을 참조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어 “정원 50명 미만의 미니의대 17개를 50% 증원하는데 증원분 중 372명을 사용하고, 나머지 632명은 비수도권 의과대학들에 배분해 지방 의료를 강화하자”며 “앞으로 10년 동안 부족한 의사 수는 65세 이상 교수들의 정년 후 5년 연장 근무제, 주말 다른 병원의 파트타임 근무제 등의 도입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했다.

또 “정부가 1004명씩 증원으로 속도 조절을 하는 것은 절대로 의료개혁의 후퇴가 아니다”라며 “중재안대로 2025년부터 5년 동안 증가하는 의대정원 약 5000명은 이들이 사회에 나오는 10∼20년 후 의사 수의 20만명의 2.5%로 작아서 미래 의사들의 환경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아 전공의들이 동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다만, 홍 회장은 이번 제안은 “개인적 견해”라며 성균관대 의대 교수협의회의 의견이 아니라고 밝혔다. 그는 성균관대 의대 교수협의회 회장을 맡고 있다.

그는 “뇌전증 수술은 어려워서 부산, 광주, 대구 등 비수도권 국립대병원들은 전혀 하지 못하고 2차 병원에서는 꿈도 꾸지 못한다”며 “한 번에 너무 큰 폭의 증원은 학생, 전공의, 교수들을 공황 상태에 빠지게 하고 있다. 중증 환자들과 의대생, 전공의를 위해서 용기를 내어 중재안을 제안한다”고 덧붙였다.

이강민 기자 riv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