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병원 교수진이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2000명 확대 지침에 반발해 사직을 결의했다.
부산대 의과대학 교수협의회, 부산대 교수회, 양산부산대병원 교수회는 19일 부산대 양산캠퍼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25일부터 사직서를 제출한다고 밝혔다. 다만 일괄 사직이 아닌 자발적 사직이란 단서가 붙었다.
앞서 교수협의회는 지난 18일 의대 교수 555명을 대상으로 사직 여부를 묻는 설문조사를 시행해 356명이 참여했다. 조사 결과 283명이 자발적 사직 의사를 밝혔고, 73명은 사직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교수협의회는 “정부는 직접 필수 의료를 담당해 온 교수와 전공의들의 간절한 호소를 무시하고 이해할 수 없는 정책을 고집해 자유 민주주의를 파괴하고 있다”며 사직 이유를 밝혔다.
이어 “다만 중증 환자를 돌본다던가 응급실을 지켜야 하는 의사들은 끝까지 남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교수협의회는 현재 의대 교육 체계를 고려했을 때 정부가 주장하는 2000명 증원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주장했다.
협의회는 “부산대 의대의 경우 강의실, 해부용 시신 실습실 등 시설이 현 정원인 125명에 맞춰져 있으며 10∼20%의 여유밖에 없다”면서 “새로운 시설을 확충하려면 최소 4년 이상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지금도 부족한 교육 인력이 갑자기 늘어날 수 없다”며 “한 교과목을 가르치기 위해 30명 이상의 교수가 고도로 협력해 움직여야 하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갑작스럽게 증원하면 결국 의대 교육체계의 파국을 야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부산대병원은 지난 11일 정부에 조건 없는 대화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연 바 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