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을 저지하는 궐기대회에서, 조용진 서울 강서구의사회장이 현 정부를 ‘백혈병’에 빗대어 표현한 일이 밝혀져 백혈병 환자들이 강한 유감을 표했다.
한국백혈병환우회는 18일 성명에서 “강서구의사회장이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정책을 비난하면서 백혈병을 부정적인 의미로 비유해 환자 인권을 침해하고 투병의지를 꺾었다”며 “강한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지난 14일 조용진 서울 강서구의사회장은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서울시의사회의 ‘의대 정원 증원·필수의료 패키지 저지를 위한 궐기대회’에서 의사를 ‘면역세포 백혈구’로, 정부를 ‘백혈병 정부’로 지칭했다.
당시 조회장은 “의사는 국민의 건강을 지키는 면역세포, 백혈구와 같은 존재”라며 “의사 증원을 강요하면 필요 이상 과도하게 증식된 비정상적인 백혈구를 가지는 백혈병을 초래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제대로 교육받지 못한 의사들이 국민 건강에 해가 될지 도움이 될지는 안 봐도 뻔하다”며 “대한민국에 백혈병을 초래한 ‘백혈병 정부’라고 기록되길 원한다면 (증원을) 강행해도 좋다”고 덧붙였다.
환우회는 조 회장의 발언에 대해 유감을 표했다. “의사가 정부 정책을 비난하는 발언을 하면서 백혈병을 부정적 의미로 비유한 것에 대해 실망을 넘어 참담함을 느낀다”며 “질병을 부정적 의미로 비유하는 건 환자 인권 침해는 물론 돌이킬 수 없는 상처가 된다”고 지적했다.
환우회에 따르면 조 회장의 발언을 언론 보도로 접한 회원들은 “보호자 가슴 무너지게 저게 뭐냐” “단어 선택이 적절하지 못한 것 같아요” “아픈 사람을 비유해서 저렇게 말을 하다니” 등의 성토를 쏟아냈다.
환우회는 “전공의들의 집단사직이 4주째 계속되면서 백혈병 치료에 필수적인 검사와 치료가 연기되는 상황이 증가하고 있다”며 “평소보다 더 인내해야 하는 극한 상황에서 환자의 투병을 응원하지는 못할망정 투병 의지를 꺾는 발언을 의사로부터 듣는 현 상황이 개탄스럽다”고 전했다. 또 “아프니까, 살기 위해서, 참고 견디며 치료받는 환자들의 불안과 고통과 울분을 의료계와 정부가 조금만이라도 동병상련(同病相憐)의 마음으로 헤아리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최다희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