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방침에 반발한 의료계가 집단행동을 이어가는 가운데, 국민 84%가 전공의 집단사직에 대해 부정적 견해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사직을 적절하다고 본 이들은 15%에 불과했다.
문화일보는 18일 여론조사업체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지난 15일부터 이틀간 전국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의대 정원 확대에 대한 대국민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4%는 전공의 집단행동에 대해 부적절하다고 응답했다. 이 중 ‘매우 부적절하다’는 응답이 57%, ‘적절하지 않은 편’이란 응답이 27%로 조사됐다.
반면 ‘매우 적절하다’는 응답은 3%에 그쳤다. ‘적절한 편’(12%)이란 응답을 합쳐도 전공의 집단사직에 대한 지지 여론은 15% 남짓인 셈이다.
앞서 전공의들은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해 지난달 19일부터 집단사직서를 내고 한 달여째 병원을 비운 상태다.
전공의 수천명이 집단사직하며 암 환자 수술이 취소되는 등 의료공백이 깊어지자 정부는 이들의 사직서 수리를 금지하고 업무복귀 명령을 내렸다. 수련병원을 이탈한 전공의 중 정부로부터 의사 면허정지 사전 통지를 받은 이들은 오는 25일까지 의견을 제출해야 한다.
오는 25일로 예정된 의대 교수 집단사직에 대한 여론도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매우 부적절하다’는 응답이 50%, ‘적절하지 않은 편’이란 응답이 28%로 도합 78%가 부정 응답을 내놨다. ‘적절하다’는 응답은 21%에 그쳤다.
한편 정부는 의사 집단행동과 관계없이 2000명 증원 계획을 확고히 고수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과거의 잘못된 고리를 끊겠다”며 2000년 의약분업 사태와 2020년 의대 증원 총파업 사태와 같이 정부가 항복하는 모습의 결말은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어떠한 경우라도 국민 생명을 두고 협상을 해선 안 된다”며 “대화와 타협의 장을 만들기 위해 집단으로 환자 곁을 떠나겠다는 말도 국민들께서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다. (의대 교수들이) 병원과 학교를 떠난 전공의들과 학생들이 본연의 자리로 돌아오도록 설득해달라”고 당부했다.
전공의들에 더해 의대 교수마저 병원을 떠나면 대형 병원에서 환자를 돌볼 의사는 사실상 사라지게 된다. 전공의들이 ‘마지노선’으로 여겨지는 의대 교수들에게 환자를 인수인계하고 떠난 상황에서 의대 교수들마저 병원을 비우면 환자는 별다른 처치를 받지 못한 채 방치될 것으로 우려된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