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흥 “문체부와 미래지향적 관계 구축…국가스포츠위 설립 협의”

입력 2024-03-18 15:50
이기흥 대한체육회장이 18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파크텔에서 열린 체육계 현안 기자회견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대한체육회 제공

이기흥 대한체육회장이 체육계 주요 현안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대립각을 세웠던 주무부처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와 “미래지향적인 관계를 구축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스포츠 정책을 총괄하는 중앙 정부조직 차원의 국가스포츠위원회 설립 문제를 두고도 “건설적인 방향으로 함께 협의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18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파크텔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체육계의 의견을 강하게 강조했던 것일 뿐 대립하거나 누군가를 타도하려는 의도는 없었다”며 문체부와의 협력 의지를 내비쳤다. 문체부 수장인 유인촌 장관과 향후 소통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제든 가능하다. 직접 만나 충분히 문제를 풀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간 이 회장은 스포츠 정책 총괄 기구 설립 문제를 두고 문체부와 갈등을 빚어 왔다. 문체부는 지난해 12월 국무총리 산하 민관 합동 기구인 국가스포츠정책위원회(정책위)를 출범했다. 그러나 체육회가 추천한 체육계 인사가 정책위에 포함되지 않으면서 극심한 반발이 이어졌다.

이에 체육회는 지난 1월 대통령실에 ‘대한민국 체육 발전을 위한 대정부 건의서’와 ‘문체부의 위법 부당한 체육업무 행태에 대한 공익감사 청구안’을 전달했다. 다만 문체부가 지난 5일 “체육회 요구사항에 대해 여론, 정책 등을 폭넓게 수렴·검토·협의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답변서를 회신하면서 양측의 갈등은 일단락된 모양새다.

이 회장은 “문체부, 교육부, 복지부 등 12개 부처에 나눠져 있는 스포츠 관련 업무를 일원화해 효율성을 높이고, 예산 중복 집행 등 문제를 막아야 한다”며 “총괄 컨트롤타워인 국가스포츠위원회를 만들어 하나의 시스템으로 관리하고 스포츠 정책의 일관성과 집행력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가스포츠위원회 설립을 통해 스포츠 복지 및 산업 분야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는 설명도 곁들였다.

아울러 이 회장은 체육단체 임원의 정치적 중립 강화와 관련한 정관 개정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선출직 공무원을 수행한 지 오래되지 않은 인사가 임원으로 선임돼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거나 현직 임원이 선출직 공무원 출마를 위해 체육단체를 정치적으로 활용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워 조항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체육단체 임원의 연임 제한 규정을 풀어야 한다는 생각도 내비쳤다. 이 회장은 “지방체육회장과 회원종목단체 회장을 할 만한 인력 풀이 부족하고, 무보수·비상임 보직인데도 연임을 제한하는 것은 과도하다”며 “지역체육 발전을 위해 문체부와 논의해보겠다”고 밝혔다.

박구인 기자 capta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