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고양시는 4차 산업 스마트기술을 행정분야에 도입해 교통, 도시계획, 시민안전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고 편리한 대민 행정서비스를 제공한다고 18일 밝혔다.
시는 지난해 5월 국토교통부 주관 ‘거점형 스마트시티 조성’ 사업에 선정돼 402억원 규모의 고양형 스마트도시 구축사업을 추진한다.
이번 사업은 데이터허브 구축, 스마트 행정서비스, 가상현실, 교통 최적화, 수요응답형 교통, 드론밸리, 스마트폴, 미디어월 구축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먼저 시는 교통, 안전, 도시행정, 환경, 에너지, 생활복지 등 각종 분야의 데이터를 한자리에 모으는 통합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한다.
분산된 데이터를 수집·표준화·가공해 데이터 기반 행정서비스의 기초를 마련하고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수요자 중심의 행정 스마트서비스를 개발할 계획이다.
교통분야에서는 사물인터넷(IoT) 센서 데이터를 수집해 실시간 교통량을 분석하고 최적의 교통환경 구축에 활용한다. 수요응답형버스, 자율주행 버스 등 수요자 중심의 체감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민원상담에는 카카오 기반으로 365일 상담서비스를 만들어 민원·행정·건강 등 시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불편 해소에 활용한다.
안전분야에서는 CCTV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지능형 관제 시스템을 도입하여 빈틈없는 사회 안전망 조성할 방침이다.
시는 범죄예방, 불법주정차 단속 등을 위해 CCTV 9126대를 설치해 365일 24시간 운영하고 있다. CCTV를 총괄하는 스마트안전센터는 범죄 예방과 범인 검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장애인·치매 어르신 실종 사건 해결, 어린이·여성 대상 범죄예방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데이터를 개방해 민간부문과 공유하는 맞춤형 서비스 개발도 다양해질 전망이다.
시는 기업 맞춤형 공모사업을 추천하는 공공지원사업 매칭 서비스를 지역 내 기업에 개방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기업들은 국내 1000여개 기관의 공모사업 정보를 쉽게 취득하고, 추천 지원 사업 리스트를 알림으로 받아볼 수 있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스마트 시티의 최종 지향점은 사람들이 편리하고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것”이라며 “시민들의 편의성을 높이는 스마트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고 편리하고 효율적인 미래형 도시를 만들겠다”라고 말했다.
고양=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