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자연재해, 인명·재산피해 등 예방을 위해 행정안전부의 내년 풍수해 생활권 종합정비사업 공모에 대비해 선제적인 대응에 나섰다.
경남도는 내년 풍수해 생활권 종합정비사업에 신규 6개 시·군, 8개 지구를 신청할 계획으로 18일 시·군, 외부전문가와 협업해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이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자체 컨설팅을 했다.
이날 컨설팅에서는 중앙 부처 재해예방사업과의 연계성 및 지역단위 일괄 정비 필요성, 사전준비 현황, 지자체 추진 의지, 주민 숙원도 등 행안부 심사·평가의 핵심에 맞춰 사업계획을 보완 조정하며 발표력 등을 자문했다.
‘풍수해 생활권 종합정비사업’은 각 부처별로 사업계획을 수립하는 기존 재해예방 사업과는 달리 위험지구에 대한 통합 사업계획을 수립한 후 사업을 한다.
생활권 내 침수·붕괴·유실 등 재해 취약요인을 해소하는 주거 단위 대규모 재해예방 사업으로 각 부처에서 시행하는 하천, 펌프장, 우수관거, 급경사지, 저수지 등을 종합 정비하는 사업이다.
2019년부터 16지구(사업비 6090억원)가 시행 중이며 경남도는 하나의 생활권 단위를 일괄 정비해 중복되는 시설을 최소화 했다. 이를 통해 예산 절감과 투자 효과가 극대화돼 내년부터는 이를 확대 한다는 방침이다.
또 경남도는 계속사업인 재해예방사업의 조기 준공으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난12일 행정안전부를 직접 방문·건의하는 등 내년 재해예방사업 역대 최대 국비 확보에 나섰다.
한편 도는 올해 재해예방사업에 지난해보다 25% 증액된 국비 1443억원을 확보했다. 풍수해 예방을위해 풍수해 생활권 종합정비사업,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사업 등 재해예방사업을 적극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경남도 관계자는 “경남은 특히 태풍의 길목에 위치해 풍수해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도내 재해위험 요인을 적기에 해소해 재해로부터 안전한 경남도 실현을 위한 노력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