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윤 대통령실 사회수석은 18일 “의대 증원 문제에 대해서는 지금이라도 대화의 장을 열고 그 주제에 상관없이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장 수석은 CBS 라디오에 출연해 “보건복지부와 의료계가 물밑으로는 계속 소통하면서 연락하고, 대화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정부가 의대 정원 2000명 증원 입장에서 1도 못 줄인다는 입장을 조금 접어야 대화의 장이 열리는 것 아니냐’는 진행자의 질문에 “그 의제에 대해서는 저희는 오픈돼 있다”고 답했다.
이 같은 장 수석의 언급은 정부가 제시한 ‘2000명’이란 의대 증원 규모에 대해 향후 의료계와 협상 과정에서 변화를 줄 가능성을 시사한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다만 그는 “의료계에서 350명, 또 500명(증원) 이렇게 말하는데 왜 350명이고, 왜 500명인지 그 근거를 제시해줬으면 좋겠다”며 “인력 수급 문제라는 게 500명은 좀 과하니까 300명, 이렇게 결정할 문제는 아니지 않나”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희가 왜 2000명 증원을 결정했는지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근거를 가지고 설명하고, 설득하겠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장 수석은 이후 기자들과 만나서도 “논의하는 의제는 오픈이나, 2000명 조정은 타협이나 협상 대상이 아니다”며 “정부는 의료계와 모든 의제에 대해 논의 가능하며 2000명 증원에 대한 과학적 객관적 근거를 바탕으로 설명하겠다는 의미”라고 재차 설명했다.
한편 장 수석은 전국 의대 교수들의 사직 결정에 대해서는 “국민에 대한 겁박”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의대 교수들은 대학교 교수 신분이 있고 의사 신분이 있는데, 의사 신분으로 보면 이 집단행동은 의료법에서 정하는 법 위반”이라며 “진료 현장을 떠난다면 그거에 대해서는 법과 원칙대로 대응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또 “2000년 의약분업, 2020년 의대 정원 증원 시도 때도 항상 전공의, 전임의, 교수 이런 식으로 집단행동이 강화되는 현상들이 반복돼 왔다. 이게 계속 반복돼서야 되겠느냐라는 걸 정부는 생각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