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이종섭, 소환 전 귀국 매우 부적절”… 韓 요구 일축

입력 2024-03-18 10:12 수정 2024-03-18 13:08
윤석열 대통령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지난해 9월 15일 인천항 수로 및 팔미도 근해 노적봉함에서 열린 제73주년 인천상륙작전 전승기념식에서 대화하는 모습. 연합뉴스

대통령실이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 사건’ 수사 외압 의혹으로 수사를 받다 주호주 대사로 임명된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에 대해 ‘자진 귀국은 부적절하다’는 입장을 18일 내놨다.

대통령실은 이날 오전 언론에 배포한 ‘현안 관련 입장’을 통해 “공수처가 조사 준비가 되지 않아 소환도 안 한 상태에서 재외공관장이 국내에 들어와 마냥 대기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며 “이 대사는 공수처의 소환 요청에 언제든 즉각 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날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공수처는 즉각 소환을 통보해야 하고, 이 대사는 즉각 귀국해야 한다”고 밝힌 데 대해 반대 입장을 낸 것이다.

대통령실은 ‘해병대원 순직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의 주요 피의자로 출국금지가 이뤄진 이 전 장관을 주호주 대사로 임명한 것의 정당성을 강조했다. 대통령실은 “이종섭 전 국방장관의 주호주 대사 임명은 인도·태평양지역에서 한·미·일·호주와의 안보 협력과 호주에 대한 대규모 방산 수출에 비추어 적임자를 발탁한 정당한 인사”라고 재차 강조했다.

이어 “이 대사에 대한 검증 과정에서 고발 내용을 검토한 결과 문제 될 것이 전혀 없다고 판단했다”며 “공수처도 고발 이후 6개월간 소환 요청을 한 번도 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대통령실은 “이 대사는 대사 부임 출국 전 스스로 공수처를 찾아가 4시간가량 조사받았고, 언제든 소환하면 귀국해 조사받겠다고 했다”며 “이에 공수처도 다음 기일 조사가 준비되면 소환을 통보하겠다고 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법무부에서만 출국금지 해제 결정을 받은 게 아니라 공수처에서도 출국 허락을 받고 호주로 부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이 전 장관의 주호주 대사 임명은 석연치 않은 ‘도피성 출국 논란’으로 비화되면서 4월 10일 총선의 최대 쟁점으로 부상했다. 한동훈 비대위원장은 전날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공수처가 즉각 소환하고, 이 대사는 즉각 귀국해야 한다”고 말했다. 논란이 불거지자 이 대사도 전날 KBS 뉴스9 인터뷰에서 “공수처가 조사하겠다면 내일이라도 귀국하겠다”며 “일단 현 시점에서 본다면 공수처와 4월 말 공관장회의 기간에 일정을 잡아서 (조사받으러) 가는 것으로 조율이 됐다”고 말했다.

이정헌 기자 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