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가 ‘대한민국 문화도시’로 최종 지정되기 위해 적극 나섰다.
전주시는 한문화 대표도시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전문가들로 추진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연말로 예정된 대한민국 문화도시 지정을 위해 총력을 쏟기로 했다.
전주시는 최근 팔복예술공장에서 이흥재 위원장과 위원 10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회 추진위원회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선 문화도시 사업 추진사항 보고, 추진위원회 운영 방안 논의, 사업 추진계획 등을 논의했다. 시는 민관산학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사업 구체화와 새 아이디어 발굴 등을 위한 워킹그룹 구성·운영 방안도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
문화도시는 지역 고유 문화자원을 활용해 특색있는 도시브랜드를 창출하고 경제 발전과 지역주민의 문화 향유 확대를 선도할 지방자치단체를 지정하는 사업이다. 정부는 그동안 4차례에 걸쳐 24곳을 문화도시로 지정했다.
이들 도시는 문화를 누릴 수 있는 공간 3658곳을 발굴, 활용함으로써 지역주민과 방문객 253만명이 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했다. 이 가운데 영도구, 영월군, 밀양시, 공주시, 고창군 5곳은 인구감소지역이다. 이들 지역엔 2020년 이후 예비도시 사업과 본도시 사업이 진행되면서 방문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도시간 연계·협력으로 문화균형발전을 선도하는 지자체 13곳을 대한민국 문화도시로 최종 지정할 예정이다. 이 도시로 지정되면 내년부터 2027년까지 3년 동안 국비 최대 100억 원을 지원받는다.
시 관계자는 “활발한 추진위원회 운영 등을 통해 문화도시 사업의 성공적 발판을 마련해 전주시가 대한민국 문화도시로 최종 지정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