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페북 차단한 中이 틱톡법 반발?” 되받은 美대사

입력 2024-03-16 00:01
중국 바이트댄스의 숏폼 플랫폼 틱톡이 지난해 3월 18일(현지시간)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서 실행한 스마트폰 화면에 표시되고 있다. AP뉴시스

니콜라스 번스 주중 미국대사가 자국 하원의 ‘틱톡 금지법’ 통과와 관련한 중국 정부의 반발에 모순이라고 되받았다.

번스 대사는 14일(현지시간)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플랫폼을 자국민에게 차단한 중국 정부의 기존 조치를 언급하며 “매우 아이러니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틱톡 같은 상용이든, 군용으로 전환될 수 있든 기술 부문은 여러 면에서 미·중 간 경쟁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중국은 미국 검색엔진 구글, SNS 플랫폼 페이스북·인스타그램·엑스(옛 트위터)의 자국민 사용을 제한하는, 일명 ‘만리방화벽’을 시행하고 있다. 이미 인터넷 차단·검열을 시행하는 중국 정부의 ‘틱톡 금지법’ 반발을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 번스 대사의 주장이다.

앞서 미 하원은 지난 13일(현지시간) ‘적이 통제하는 앱으로부터 미국인을 보호하는 법안’을 찬성 352표, 반대 65표로 가결했다. 중국 비상장사 바이트댄스의 숏폼 플랫폼 틱톡은 ‘적이 통제하는 앱’으로 지목됐다. 미국의 여야 대부분이 ‘틱톡 금지법’을 초당적으로 처리했다.

이에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국가 안보의 이유를 들어 임의로 다른 나라의 우수한 기업을 탄압한다면, 그것은 조금도 공평하고 정의롭다고 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번스 대사는 또 중국 내 정책적 환경이 미국 기업들의 투자를 주저하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난해 중국에서 개정된 반(反)간첩법을 거론하며 “중국 고위 관료 일부는 민간 투자를 환영한다며 ‘투자가 보호될 것’이라고 말하지만, 기업들은 다른 메시지도 듣는다”고 비판했다.

미국 정부의 대(對)중국 반도체 수출통제에 대해 번스 대사는 “우리는 국가 안보를 타협하지 않을 것이고 협상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