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틱톡 전면 사용금지 검토”… 인구 20%가 이용자

입력 2024-03-15 14:24
중국 바이트댄스의 숏폼 플랫폼 틱톡 애플리케이션이 2020년 9월 28일 일본 도쿄의 한 모바일 기기에 설치돼 있다. AP연합뉴스

중국 숏폼 플랫폼 ‘틱톡’을 놓고 미 하원에서 사용금지 법안이 통과되자 대만 정부도 ‘전면 사용금지’를 검토하고 나섰다.

15일 대만 일간 자유시보에 따르면 린쯔룬 행정원 대변인은 전날 언론브리핑에서 “미 하원의 ‘틱톡 금지법’의 진전 상황을 계속 주시하고 각계 의견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것”이라며 전면 사용금지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권위주의 전제국가가 항상 자유민주주의 국가의 언론 자유를 이용해 플랫폼으로 선거를 조작하고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며 틱톡에 대해 “이미 일부 국가의 인지전을 위한 플랫폼으로 변모됐다”고 지적했다.

인지전(cognitive warfare)은 가짜 뉴스를 배포해 반정부 여론을 부추기고 민간과 군의 사기를 떨어뜨리는 교란 전술이다. 린 대변인은 “대만 정부가 이미 2019년 공공에서 중국제 특정 소프트웨어의 사용을 금지했다”고 설명했다.

대만에서 틱톡 이용자는 전체 인구의 20% 이상인 500만명을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대만 행정원은 2022년 12월 틱톡과 더우인을 포함한 중국 플랫폼을 사용하는 공무원을 처벌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미 하원은 지난 13일(현지시간) ‘적이 통제하는 앱으로부터 미국인을 보호하는 법안’을 찬성 352표, 반대 65표로 가결했다. ‘적이 통제하는 앱’이란 중국 비상장사 바이트댄스의 숏폼 플랫폼 틱톡이다. 미 하원에서 여야 대부분이 ‘틱톡 금지법’을 초당적으로 처리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