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의대 정원 확대 방침에 반발해 집단 휴학 및 수업 거부에 나선 의과대학 학생들에게 공개 대화를 요청했다.
11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이 부총리는 이날 오전 의대 학생회를 대표하는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 공동 대표 3인에게 공개적으로 대화를 제안했다.
교육부는 “의대협이 13일 오후 6시까지 대화에 나서겠다고 회신하면, 의대 학사 운영 정상화와 학생 학습권 보호에 대해 함께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응답 시한을 13일 오후 6시로 정한 게 14일부터 유급이 발생할 수 있다는 뜻은 아니라고 덧붙였다.
통상 유급제도를 운영하는 의대에서 수업일수의 3분의 1 혹은 4분의 1을 결석한 학생은 F학점을 받고 유급된다. 이번 휴학 또는 수업 거부에 동참한 의대생 다수가 유급될 경우 당장 내년부터 전공의 수급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교육부는 그간 대학 총장과 의대 교수들에게 집단휴학과 수업 거부에 나선 의대생들이 학교에 복귀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요청해왔다. 하지만 의대의 학사 일정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별다른 소득은 없었다.
전날까지 학칙상 요건을 지킨 의대 휴학생은 누적 5446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재학생의 29%에 해당한다. 다만 정부는 학칙상 요건에 부합하지 않은 휴학 신청은 집계에서 제외하고 있어 실제 수업 거부나 휴학에 나선 의대생 규모는 이보다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전날까지 수업 거부가 발생한 의대도 10개교로, 전체 40개교 중 25%에 이른다.
이정헌 기자 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