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87%가 사직하면서 운영 차질이 본격화하고 있는 부산대병원이 비상 경영 체제에 돌입했다.
9일 부산대병원에 따르면 정성운 병원장은 전날 내부 게시판에 “전공의 진료 공백으로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는 임직원의 헌신에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며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최근 현실적인 문제로 비상 경영 상황까지 맞게 돼 안타깝다”고 적었다.
이어 “어려움 속에서도 지역의 중증, 필수 의료 중심(병원)이라는 자부심 아래 이겨내던 우리의 모습을 떠올리며 지혜와 힘을 조금만 더 모아 달라”고 말했다.
정 원장은 “현장과 더 가까이 소통하며 이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할지 고민하겠다”고 덧붙였다.
최근 부산대병원은 전공의 246명 중 216명이 사직하고, 지난 1일부터 출근이 예정돼 있던 전임의 27명 중 22명이 임용을 포기했다. 그 결과 의료진 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
부산대병원은 의료진 부족으로 수술 건수가 줄었고 병상 가동률도 40∼50%로 떨어졌다. 이번 달에만 100억원대 적자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의대 증원 문제를 둘러싼 정부와 의사들의 갈등이 길어질수록 의료진 공백이 일으키는 부작용 및 병원의 재정 상황은 악화할 수밖에 없다. 이에 관한 병원 경영진 우려가 큰 것으로 전해진다.
황민혁 기자 okj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