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 의과대학 설립’ 100만 염원 대통령실 등 전달

입력 2024-03-07 11:12
6일 국회에서 최재호 창원상공회의소 회장(왼쪽)과 조명래 창원시 제2부시장이 의대 설립을 촉구하는 서명부와 청원서를 전달하고 있다. 창원시 제공

최재호 창원상의 회장과 조명래 창원시 제2부시장이 의대 설립을 촉구하는 창원시민과 경남도민 74만5832명의 서명부와 청원서를 대통령실·국회·교육부·보건복지부를 직접 방문해 전달 했다.

경남 창원시는 창원 의과대학 유치 기획단 총괄단장인 조 부시장과 창원 의과대학 유치 범시민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 최 회장이 참여해 의대 설립을 촉구하는 서명부와 청원서를 정부에 전달했다고 7일 밝혔다.

6일은 대통령실과 국회, 7일은 보건복지부와 교육부를 방문해 전달했다. 시는 지난해 3월 범시민추진위 출범과 함께 의대 설립을 촉구하는 서명운동을 본격화 했고, 의대 설립 공감대는 경남도로 빠르게 확산돼 74만 명이 서명운동에 참여했다.

의대 설립까지 정치·경제·종교계 등 각계각층 모두가 하나가돼 서명운동을 계속 이어나갈 예정이며 최근 여론조사에서는 84% 이상의 도민이 창원 의과대학 신설에 찬성한다고 응답했다.

이 같이 지역민들이 의대 설립에 목소리를 높이는 배경에는 의사인력 부족으로 지역의료가 붕괴 되고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기 때문으로 경남의 인구는 전국 4번째이나 의과대학은 단 1곳이며(정원 76명)이다.

또 인구 10만명 당 의대 정원은 2.3명으로(전국 평균 5.9명) 전국 최하위 수준이며 특히 경남의 수부 도시이자 비수도권 인구 100만 이상 대도시 중 유일하게 창원시에 의과대학이 없는 실정이다.

2021년 기준으로 경남에서 제대로 치료를 받았으면 생존할 수 있었던 사망자의 수는 1560명에 달해 전국에서 3번째로 높다. 이 외 간암과 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각각 13.9%, 23.9%로 전국 1위를 기록하는 등 경남은 심각한 의료 소외지역이 됐다.

조 부시장은 “의과대학 설립은 지역의료 수준을 높이고 도민의 건강 격차 해소를 위한 첫걸음”이며 “지역 의대를 졸업하고, 지역병원에서 수련한 의사들이 지역에서 정주해 지역의료 발전에 기여 하도록 정부의 현명한 결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