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세포 잡는 광면역치료제 개발…전남대 박인규 교수팀

입력 2024-03-06 16:31

전남대 의생명과학교실 박인규 교수 공동연구팀이 나노입자를 활용해 암세포를 없애는 ‘광(光)면역치료제’를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팀은 광주과학기술원 이재영 신소재공학부 교수와 함께 전기전도성 고분자와 히알루론산이 조합된 나노입자에 면역관문 억제제 JQ-1을 담은 광면역치료제를 개발하고 국내 특허 출원했다.

나노입자를 활용한 신개념 광면역치료제는 혈액을 통해 종양 부위로 보낸 뒤 인체 외부로부터 근적외선을 쏘이는 방식이다. 이후 체내에 투입된 치료제가 열을 내면서 종양세포를 사멸시킨다.

연구팀은 종양 표적성, 나노입자 크기, 친수성의 히알루론산 표면 분포, 입자 안정성 등의 테스트에서 가장 효율적인 나노입자의 모형을 찾아내 다양한 질병치료에 활용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면역관문 억제제 JQ-1’은 암세포가 자신의 증식을 위해 인체 내에 있는 면역체계를 무너뜨리려 할 때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연구팀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원천기술개발사업 면역치료혁신센터 사업, 한국연구재단 복합암면역치료센터, 중견연구자 사업, 기초연구실 사업의 지원을 받았다.

이번 연구성과는 최근 전문매체 어드밴스드 헬스케어 머터리얼즈(Advanced Healthcare Materials, 피인용지수 10.0)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박인규 교수는 “나노입자는 항암제, 면역조절제 등을 각종 표적 조직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선택적으로 방출할 수 있어서 전이 장기에도 높은 치료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