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마 경선 방해?’…페북·인스타 먹통에 美정부도 긴장

입력 2024-03-06 05:44
아이폰 화면에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메신저, 페이스북 앱이 깔려 있는 모습. AP뉴시스

미국 대형 정보기술(IT) 업체 메타가 운영하는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SNS들이 5일(현지시간) 대규모 접속 장애를 일으킨 것을 두고 그 배경과 원인에 이목이 쏠린다.

메타의 앤디 스톤 대변인은 접속 중단 사태와 관련해 이날 자신의 엑스(옛 트위터) 계정에 글을 올려 “오늘 오전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 사람들이 일부 서비스에 접근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며 “가능한 한 빨리 문제를 해결했지만 피해를 본 모든 사람들에게 불편을 드려 죄송하다”고 밝혔다.

메타의 서비스 중단은 2021년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왓츠앱 등이 6시간 이상 다운된 대규모 장애 이후 처음이다. 이번 불통 사태는 약 2시간 만에 복구됐다.

페이스북 로그인 오류 화면. 페이스북 캡처

이날 접속 장애의 원인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이날은 총 17곳에서 미국 대선 후보 경선이 열리는 날이라는 점에서 접속 장애에 대해 미 정부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바이든 행정부는 슈퍼 화요일 투표를 방해하려는 구체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위협을 확인하지는 못했다면서도 서비스 중단 사태를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이버보안 및 인프라 보안국 고위 관계자는 “우리는 이번 사건을 인지하고 있다”며 “현재로서는 특정 선거와 연관이 있거나 특정 악성 사이버 활동에 대해 알지 못한다”고 밝혔다.

AP 통신은 이번 접속 장애가 오는 7일 유럽연합(EU)의 메타를 비롯해 빅테크 규제를 위한 디지털 시장법(DMA) 시행을 앞두고 발생했다고 짚었다. 메타는 DMA를 준수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 중인데, 이번 장애가 DMA를 위한 준비 작업과 관련이 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 AP뉴시스

AP, 로이터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런던에 본사를 둔 인터넷 모니터링 회사 넷블럭스는 엑스를 통해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메신저, 스레드 등 메타의 서비스가 여러 국가에서 로그인과 관련한 접속 중단을 겪었다”며 “이는 특정 국가 차원의 인터넷망 장애나 접속 차단과는 무관하다”고 알렸다.

접속 중단을 추적하는 웹사이트 ‘다운디텍터’도 페이스북 기준으로 미 동부 시간 이날 오전 10시쯤부터 약 55만명이 접속 중단을 겪었다고 전했다. 인스타그램과 스레드 이용자의 장애 신고건수도 각각 9만2000명과 1만2000명에 달했다. 접속 장애는 미국 이외에도 영국, 캐나다, 멕시코 등에서도 보고됐고 한국에서도 다수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었다.

한편 엑스 대주주이자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는 이날 메타 측이 대규모 불통 사태와 관련해 엑스로 입장을 전한 것과 관련해 자신의 계정에 글을 올려 “이 글을 읽고 계신다면 우리 서버가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비꼬기도 했다.

머스크는 지난해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와 종합격투기로 ‘현피’(현실에서 만나 싸움을 벌인다는 뜻의 은어)를 벌이는 방안을 놓고 온라인 설전을 벌이다 무산된 바 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