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서 드론을 활용해 항만 관련 물류를 배송하는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정박 중인 선박이나 낚시 중이던 갯바위에서도 치킨이나 피자, 맛집 음식 등 음식물을 주문하면 드론으로 받게 된다.
부산시는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2024 드론 실증도시 구축 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3일 밝혔다.
시는 부산테크노파크 해양드론기술 피앤유드론 부산국제선용품유통사업협동조합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사업을 추진한다.
선정된 사업은 부산의 지리적 여건을 활용한 항만 드론 배송이다. 부산항 묘박지에 정박 중인 선박이나 동삼 어촌계 해상낚시터, 조도방파제 등 해상 레저지역 이용객에게 의약품·낚시·생활용품·음식물 등을 드론으로 배송하는 서비스다. 부산항 남외항 묘박지는 기름이나 생필품 보급을 위해 입항하는 선박들이 항만 인근 바다에 임시로 정박하는 곳이다. 이곳에 있는 동안 선원들은 하선하지 못하는데, 이때 먹고 싶은 음식이나 필요한 선용품 공급에 드론을 투입하는 것이다.
부산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항만 드론 배송 운영체계와 기반 시설을 구축하고 이를 활용한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우선 부산항국제선용품유통센터와 한국해양대에 드론 배송 거점을 마련한다. 폐쇄회로(CC)TV와 드론 식별 관리시스템 모니터링이 가능한 드론 상황실도 구축 예정이다.
부산항 묘박지와 해상 레저지역 등 17곳이 배달 가능 지역으로 지정됐다. 이에 따른 드론 배송 비행로 17개가 구축된다. 고객은 ‘나라온’ 배달앱을 통해 주문하면 된다. 배송에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7시 사이 드론 4대 이상이 투입된다. 배송에 걸리는 시간은 짧으면 1분, 길어도 5분이 채 걸리지 않는다. 드론 배송 비용은 묘박지 선박의 경우 최소 2만5000만원, 낚시터는 1만원가량 한다.
앞서 국토교통부와 항공안전기술원은 드론 신서비스 및 드론 상용화를 위해 1월 12일부터 지난달 16일까지 ‘2024 드론 실증도시 구축 사업’ 공모를 진행했다. 올해 공모에는 36개 지자체와 46개 드론 기업이 응모했으며 부산시는 16개 지자체와 함께 최종 선정됐다. 이에 따라 부산시는 국비 5억원과 거점 구축을 위한 시비 9500만원을 투입해 오는 11월까지 사업을 추진한다.
신창호 부산시 디지털경제혁신실장은 “해양을 중심으로 한 드론 배송 서비스 모델을 표준화해 국내 주요 항만으로 확대하고, 드론 배송 체계를 수출해 지역 드론 기업이 세계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속해서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