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교육부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에 경남도(진주시, 사천시, 고성군, 창원시, 김해시, 양산시, 거제시, 밀양시)가 최종 지정됐다고 29일 밝혔다.
‘교육발전특구’는 정부가 추진하는 지방의 새로운 기회 창출을 위한 4대 특구 중 하나로 지역이 주도하는 교육혁신을 통해 지역 우수인재 양성에서 정주까지 시범지역 당 3년간 해마다 30억원에서 100억원을 지원한다.
지난해 12월 교육부의 1차 교육발전특구 지정 공모에 전국 광역시도, 기초지자체 등 94개 지자체가 신청, 교육부는 전날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지정’에 경남도가 포함된 31건을 최종 지정했다고 발표했다.
교육부는 올해 2월 신청지역에 대한 교육부 교육발전특구위원회의 서면심사와 대면심사 후 지방시대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교육발전특구를 최종 지정했다.
교육발전특구 시범선도 지역 지정에 따라 3년간 교육부 특별교부금과 협약형 특성화고 지정 등 교육부 각종 사업 공모에 가산점을 받게 된다. 또 초등부터 성인까지 전략산업 인재육성과 지역정주를 통한 지역발전 선순환 구조 마련에 초석을 놓게 됐다.
특히 도내 5개 특구에서 특성화고와 연계한 산업기능인력을 3년간 6000여 명을 양성하게 되며 경상국립대 우주항공대학과 의대·약대, 창원대 전자공학 등 인기학과의 지역인재전형도 확대(50%~80%이상)할 계획이다.
또 도 교육청과 협의해 지역 교육여건에 맞는 늘봄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해외산업인력의 취업과 지역정주 지원을 위해 해외유학생을 유치하고 비자발급에 따른 규제특례도 도입한다.
경남도내 산업 미충원 인력은 7548명(16.3%)으로 전국 미충원율의 5.4%이다. 제조업분야 미충원 인원은 4292명으로 경남은 제조업 산업인력 부족이 심각한 상황이다.
이번 특구 지정으로 대학, 특성화고와 연계한 우수산업기능인력이 양성되면 직업교육훈련기관을 통한 산업기능인력과 외국인 인력 도입 확대에 더해 산업 분야의 필요 인력도 확충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는 그동안 교육발전특구 지정을 위해 도 교육청과 8개 시·군, 대학, 유관기관과 함께 특구모델안을 구상해 ‘경남형 미래전략산업 교육발전특구’기획안을 지난 8일 교육부에 제출했다.
경남은 교육부 교육발전특구위원회 대면심사에서 돌봄확대, 특성화고 기술인재 양성, 지역인재특별전형 확대 등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교육발전특구 체계 구성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도는 ‘경남형 미래전략산업 교육발전특구’내 공통으로 늘봄 단계적 확대, 특성화고 기술인재 육성, 정주여건 개선을 추진한다.
또 전략 산업 분야에 따라 우주항공 교육발전특구(진주·사천·고성), 스마트제조 교육발전특구(창원), 나노 교육발전특구(밀양), 미래조선 교육발전특구(거제), 자동차·의생명 교육발전특구(김해·양산) 5개 특구로 특성화했다.
윤인국 경남도 교육청년국장은 “이번 교육발전특구 지정으로 경남 미래전략산업에 맞는 지역인재 양성과 지역정주 등 지역발전의 선순환 구조를 마련하게 됐다”며 “지역우수인재 양성으로 인재가 모이는 아이키우기 좋은 활기찬 경남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