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최후 항쟁지’ 옛 전남도청이 내년 10월 말까지 1980년 당시 5·18 최후항쟁의 서사를 기억·교육·추모하는 전시·체험 공간으로 거듭난다.
문화체육관광부 옛 전남도청복원추진단은 지난해부터 진행 중인 옛 전남도청 복원사업과 관련한 ‘전시설계 및 제작·설치 착수 보고회’에서 전시·체험 공간의 구체적 청사진을 처음 공개했다고 29일 밝혔다.
전일빌딩245 다목적 강당에서 전날 진행된 보고회에는 5월 단체 회원과 광주시민, 동구청 직원 등이 참석했다.
건물 복원과 별도로 추진 중인 전시·체험공간은 옛 전남도청 본관과 별관, 회의실, 경찰국 본관, 민원실, 상무관 등 6개 건물 내부 총면적 9363㎡에 조성된다.
5·18 최후 항쟁지라는 상징성과 정체성이 드러나도록 당시 상황을 실물 또는 가상콘텐츠로 구현해 5월 정신을 기억·교육·추모하는 곳이 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2025년 10월 31일 준공을 목표로 한 전시·체험 공간의 주제는 ‘기록 기억 그리고 기다림’이다.
복원추진단은 ‘다시 5월’, ‘가자 도청으로’, ‘끝나지 않은 이야기’ ’거리로 나온 시민’ 등의 소주제를 건물마다 접목해 전문가 자문을 거쳐 검증된 역사적 사실만을 콘텐츠로 채우기로 했다.
장소적 의미의 ‘랜드마크’가 아니라 5월 정신이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 곳이자 미래세대의 유산이 되는 ‘마인드마크’가 되도록 하겠다는데 방점을 찍었다. 기본·실시설계를 거쳐 11월부터 본격 제작·설치공사에 들어갈 예정이다.
하지만 국립5·18민주묘지 내 5·18 추모관, 5·18 기록관, 5·18 기념공원 등 기존 추모시설과 다를 게 없을 것이라는 우려가 벌써 제기되고 있다. 우여곡절 끝에 복원되는 옛 전남도청 건물 내부에 들어설 차별화된 콘텐츠가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예를 들어 상무관 벽면에 희생자 166명의 이름을 새기고 중앙에 꺼지지 않는 횃불을 설치한다는 구상 등은 구태의연할 뿐 아니라 기존 5·18 기념·추모시설에서 이미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복원추진단 관계자는 “기본계획을 현재 수립하는 단계에 불과하다”며 “5월 단체와 광주시민들의 더 많은 의견을 듣고 전시·체험 시설 구성에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