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싱크탱크 기관이 24개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민주주의 만족도’ 조사에서 한국은 “현재 민주주의 상황이 불만족스럽다”는 답이 61%로 나타났다. ‘강력한 지도자’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과거에 비해 높아졌다.
퓨리서치는 지난해 2월 20일부터 5월 22일까지 24개국 3만861명을 조사해 28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응답자의 59%(중간값)가 자국에서 민주주의가 작동하는 상황에 대해 “만족하지 못한다”고 밝혔다. “만족한다”는 답변이 50%를 넘긴 국가는 7개뿐이었다.
한국의 경우 38%만 만족했고 61%가 불만족했다. 한국을 비롯한 14개 국가에서 민주주의에 대한 불만이 작년보다 크게 늘었다.
민주주의에 대한 불만이 크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대의민주주의가 가장 좋은 정부 유형이라고 생각했다. 대의민주주의에 대한 긍정 평가가 77%로 다른 통치 방식보다 높았다.
한국은 직접민주주의(78%)에 대한 평가가 가장 높았다. 그다음으로는 대의민주주의(76%), 전문가의 통치(66%), 강력한 지도자(35%), 군부 통치(12%)로 나타났다.
멕시코, 케냐, 인도, 한국, 독일, 폴란드, 아르헨티나, 브라질 등 8개국에서는 2017년에 비해 ‘강력한 지도자’에 대한 지지가 증가했다.
한국 역시 강력한 지도자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2017년 23%에서 2023년 35%로 12% 포인트 늘었다. 퓨리서치는 강력한 지도자에 대한 지지가 특히 교육을 덜 받고 소득이 적은 사람들에게서 흔히 나타난다고 분석했다.
응답자들은 여성과 저소득층, 젊은 층이 더 많이 선출되면 나라 상황이 나아질 것이라고 봤다. 24개국 응답자의 50%는 “여성이 더 선출되면 상황이 나아질 것”이라고 했다. 46%는 “젊은 층이 더 선출되면 상황이 나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은 “젊은 층이 더 진출하면 상황이 개선될 것”이라고 답한 비율이 60%로 높은 편이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