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 교육발전특구 지정…미래 50년 혁신성장 지역인재 양성

입력 2024-02-28 12:16
지난해 5월 홍남표 창원시장(왼쪽 두번째)이 한국 NSK 기업 현장을 방문해 회사 관계자의 설명을 듣고 있다. 창원시 제공

경남 창원시가 교육발전특구 올해 1차 스마트제조 시범지역으로 지정돼 특별교부금과 관련 특례를 지원받게 됐다.

28일 교육부 발표에 따르면 스마트제조(창원)와 우주항공(진주, 사천, 고성), 나노(밀양), 미래조선(거제), 자동차·의생명(김해, 양산) 등 도내 8개 시·군이 참여한 5개 지구가 경남도 미래인재양성 교육발전특구로 지정됐다.

창원시는 그동안 청년인구 유출 등 인구감소와 지역소멸을 극복하고 혁신성장의 기틀 마련을 위해 교육발전특구 지정과 글로컬대학 선정, 의과대학 설립 등 창원형 혁신인재 양성 3대 사업에 총력을 다해왔다.

그 결과 지자체·교육청·대학·기업·공공기관 등이 협력해 미래 인재를 육성하는 교육발전특구 지정, 특별교부금 30~100억원과 관련 특례 지원, 지역전략·특화산업 맞춤형 기능 인력양성 체제 구축을 위해 ‘스마트제조 교육발전특구’로 3년간 시범 운영한다.

관련 특례는 지역특성과 관심분야 중심으로 수립된 영역별 특화된 모델과 운영방안에 따라 개선 필요성이 제기된 규제에 대해 특례(대학교원의 지역 초·중·고 수업 협력 등 교육프로그램 운영 연계 강화 등)가 적용된다.

또 기계·방위분야 국내 최대 집적지인 지역 특성을 반영한 스마트제조 교육발전특구는 직업계고-기업 간 산업기능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지원 및 채용 연계를 강화하며 나아가 시는 인재 양성-취업-정주까지 연결을 목표로 ‘창원형 교육발전특구’를 운영한다.

기존 스마트제조 분야 외 진해신항 등 고부가가치 일자리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스마트 물류 분야를 추가하고, 직업계고와 대학, 기업체의 수요를 파악해 신산업분야를 발굴·운영해 미래세대 일자리 확충을 한다.

또 산·학·관 협력체계 확립과 교육-취업 연계 프로그램 등을 지원해 기업 맞춤형 인력 양성모델 체계적 구축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로 지역 정주를 유도하며 6~11세 인구 만 명당 초등 돌봄기관 수가 34.2개로 전국 41.2개보다 낮아 사회적 돌봄체계를 보완한다.

시는 교육과 돌봄의 어려움으로 인한 인구감소와 지역소멸을 방지하고, 미래 우수 인력 확보를 위해 장기적 관점에서 거점형 돌봄센터 구축 등 경남교육청과 협력, ‘늘봄-교육-취업-정주’까지 연결되는 창원형 교육발전특구의 완성을 위해 전념할 예정이다.

홍남표 창원시장은 “미래 50년 혁신성장을 이끌 창원형 혁신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발전특구 지정을 환영하며 창원의 인재가 지역에 정주할 수 있도록 창원형 교육발전특구 운영에 행정력을 집중해 지역발전을 선도할 교육혁신 모델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