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정부의 최근 원전 생태계 복원 정책에 따른 ‘원전산업 지원 특별법 제정’ 추진과 SMR 제작지원센터 유치 등 원전산업 육성을 위한 경남도의 향후 대응계획을 28일 발표했다.
정부의 원전산업 주요 정책은 먼저 원전생태계를 완전 복원하는 것으로 정부는 기업이 설비를 납품하면 대금을 받을 수 있는 것에서 계약 즉시 계약금 30%의 선금을 받는 ‘선금특례’ 추진과 기업에 대한 ‘금융지원’도 올해 5000억원에서 내년 1조원으로 확대했다.
이어 소형모듈원자로(SMR) 선도국 도약을위해 SMR 독자 기술개발과 다양한 노형(원자로 타입)의 국내외 사업화, SMR파운드리 육성을 위해 한국형 소형원전 예산을 지난해에 비해 9배 증액했다.
또 정부는 창원·경남지역을 ‘SMR 클러스터’로 육성하기 위해 연내 ‘원전산업 지원 특별법 제정’과 ‘중장기 원전 로드맵 수립’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SMR 투자전용 펀드’도 조성해 원전기업을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이 같은 정부의 원전산업 육성 정책에따라 도는 경남 차원의 대응계획으로 400억원 규모의 ‘경남도 원자력 육성 금융지원’과 445억원 규모의 ‘에너지혁신성장펀드’를 통해 원전기업에 금융자금을 공급한다.
또 도는 SMR 혁신 제조기술 및 공정 R&D 확대를 위해 717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PM-HIP 핵심 제조공정 기술개발 등 5개 ‘SMR 혁신 제조기술’ 정부 공모사업에 도내 원전기업이 적극 참여를 지원한다.
이어 SMR 클러스터 육성을 위해 인프라 분야에서 1조4000억원이 투입되는 ‘창원 방위·원자력 융합 국가산업단지 조성’과 2026년까지 ‘원자력산업 종합지원센터 구축, ‘한국원자력연구원 분원’ ‘글로벌 SMR R&D센터’를 유치할 계획이다.
류명현 경남도 산업국장은 “올해 정부의 ‘원전산업 지원 특별법 제정’과 ‘중장기 원전 로드맵 수립’에 경남도 의견이 반영되도록 노력 하고, ‘원전산업 신성장 미래기술 개발사업’의 정부 예타사업 선정 등 SMR 제작지원센터 유치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