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수산안전기술원은 올해부터 기존 국립수산과학원에서 하던 패류독소와 노로바이러스 조사를 전국 지자체 최초로 직접 한다고 28일 밝혔다.
패류독소는 패류가 먹이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유해 미세조류에 함유돼 있던 패류독소가 패류 체내에 축적돼 발생, 비세균성 급성위장염을 일으키는 노로바이러스는 주로 겨울철에 발생한다.
수산안전기술원은 2021년 전국 지자체 최초로 마비성 패류독소 검사시설 구축을 시작해 지난해까지 시험 운영을 거쳐 올해부터 본격 운영하며 2022년부터 준비한 노로바이러스 검사도 본격 운영할 예정이다.
경남은 전국 패류 생산량의 약 80%를 차지하는 국내 패류 산업의 중요한 지역이다. 그러나 패류독소와 노로바이러스 등 위해요소들은 도민들의 안전과 어업인들의 경영에 시급한 문제였다.
이전까지는 도내 패류독소 검사를 부산의 국립수산과학원에서 검사해 출하 연기 등 신속한 패류위생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올해부터 경남에서 자체 수행해 경남지역 패류독소 검사에 드는 시간과 비용 단축이 기대된다.
도수산안전기술원은 올해 도내 9개 지점을 전담 조사한다. 3월에서 6월까지 패류독소가 확산하는 시기는 조사를 주1회 이상 확대·조사할 예정이다. 검사 결과는 경남 수산안전기술원 누리집에 검사가 끝나는 즉시 게시한다.
또 현재 수산안전기술원은 도내 노로바이러스 조사 지점 17개 중 4개를 시험 운영, 11월 말부터 본격 운영할 예정이다. 국립수산과학원과 유효성 검증 분석 중이며 노로바이러스 신속 검사를 통해 도내 패류위생 관리를 강화할 방침이다.
송상욱 경남도수산안전기술원장은 “신속·정확한 검사로 도내 어업인의 부담을 덜어주고 도민들이 수산물을 안심하고 섭취할수 도록 패류 위생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