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시가 올해 공동주택감사팀 신설과 투명하고 체계적인 공동주택관리로 내실 있는 주거환경 조성에 나선다.
창원시는 공동주택 관리의 효율화와 입주자 등 권익을 보호해 안심하고 거주하는 주거문화 조성을 위해 공동주택감사팀 신설과 올해 ‘공동주택관리 감사 계획’을 수립했다고 27일 밝혔다.
창원의 공동주택은 전체 가구의 65%를 차지하며 신규 주택 대부분도 공동주택으로 건설되고 있어 해마다 공동주택 비율은 증가하는 추세다.
이에 따라 시는 공동주택의 입주자와 관리사무소간 분쟁, 관리비 부적정 지출, 층간소음 등 다양한 형태의 갈등·분쟁 해소를 통한 입주민의 주거생활 향상에 적극 대처해 지난 1월 공동주택관리감사 전담팀을 신설했다.
공동주택감사팀은 최근 5년간 감사현황과 지적사항 유형 분석, 감사추진 내용 및 절차, 모범사례 분석, 공동주택 관리실태 점검 체크리스트를 체계적으로 정비하고 이 자료를 기반으로 내실 있는 감사를 추진한다.
특히 체크리스트는 예산·회계, 공사·용역, 장기수선·안전관리, 입주자대표회의·선거관리위원회 등 분야별로 세분화해 알기 쉽도록 정비하고 아파트 운영 기초자료로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창원시 홈페이지에 게시했다.
올해 계획된 감사대상은 의무관리대상 공동주택 20개 단지로 관리·운영, 회계, 장기수선, 시설물 유지보수, 안전관리계획 분야 등을 중점 점검한다.
또 공동주택의 노후 공용시설물 보수비용을 지원하는 ‘공동주택관리 지원사업’(올해 기준 10억원규모, 단지별 최대 2000~4000만원 지원)의 현황과 실태점검을 통해 문제점에 대해서는 대책을 수립해 예산 낭비 없이 건전한 사업추진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올해부터는 처분 위주의 감사가 아니라 공동주택 관리개선 방안을 지도하고 관련법령 등 위반행위 계도를 통해 공동주택 내의 갈등과 분쟁을 사전 예방하고 투명한 관리문화를 조성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또 기존 행정조치 이행실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감사사례집 발간과 배포를 통해 감사추진에 따른 사후관리에도 집중 한다.
안제문 창원시 도시정책국장은 “관리주체와 입주자대표회의 전문성 등을 강화해 투명한 공동주택관리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감사제도를 운용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입주자 등 권익 보호와 내실있는 공동주택 주거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