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뺑뺑이’를 줄이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이 운영된다.
제주도는 응급환자 발생 시 의료기관 적시 이송부터 배후 진료까지 지역맞춤형 응급의료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26일부터 ‘응급의료지원단’을 가동한다고 이날 밝혔다.
지난해 12월 공모에 제주한라병원이 응모함에 따라 한라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장을 단장으로 연구원과 행정인력 등 총 4명으로 구성했다.
응급의료지원단은 도내 6개 응급의료기관의 응급환자 처리 실태를 매월 모니터링하게 된다. 제주도는 결과를 제출받아 사례별 문제점을 파악한 뒤 각 응급의료기관과 개선 대책을 논의한다.
도내 응급실 방문 환자는 2020년 14만697명, 2021년 14만3082명, 2022년 15만1791명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 가운데 119구급대 이송환자는 매년 4만명 내외이며, 이중 200명 가량이 병상부족이나 의료장비 문제 등의 이유로 전원됐다.
제주지역 응급실에서는 전문의가 없어 환자를 받지 않는 이송 거부보다 대기시간이 긴 문제가 주로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7월 제주대병원 응급실에서 60대 혈액 투석 환자가 1시간 넘게 대기하다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서귀포의료원에 입원해 투석을 받던 환자는 부정맥 등으로 상태가 악화하자 의료진의 권유를 받고 제주대병원 응급실로 전원했다.
하지만 빈 병상이 없어 병원 로비에서 1시간 20분가량 대기하던 중 심정지가 발생했고, 결국 숨졌다.
그동안 제주에서는 응급환자 이송, 치료 실태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이뤄지지 않았다.
강동원 제주도 도민안전건강실장은 “조만간 ‘제주형 전원 및 이송 지침’을 마련하고, 지침이 현장에서 제대로 시행되는지 이행 여부를 모니터링하게 될 것”이라며 “제주에서는 응급실을 찾지 못해 길에서 헤매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