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오는 4월 10일 총선을 45일 앞둔 25일에도 총선 선거구 획정 문제를 결정짓지 못한 채 평행선 대치를 이어갔다.
여야는 2월 임시국회 마지막 본회의가 열리는 오는 29일 전까지 막판 협상을 이어갈 예정이지만, 입장 차이를 좁히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과은 26일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전체회의를 열고 선거구 획정 협상에 나선다.
그러나 협상 타결은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정개특위 여야 간사인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과 김영배 민주당 의원은 지난 23일에도 입장 차만 확인하고 헤어졌다.
선거구 획정은 이미 늦어도 한참 늦은 상태다. 여야 선거구 획정 협상이 지리하게 길어지는 것은 의석의 유불리 계산 때문이다.
민주당은 여야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획정위가 국회에 제출한 원안대로 처리하겠다는 최종 방침을 여당에 전달했다.
국민의힘은 이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획정위 원안에 따를 경우 여야가 잠정 합의해놓은 서울·경기·강원·전남 4개 지역의 구역조정 방안이 백지화되기 때문이다.
또 잠정 합의가 파기되면 강원도에 속초·철원·화천·양구·인제·고성 등 6개 시·군을 아우르는 ‘공룡 선거구’가 탄생하게 되기 때문에 이를 받아들 수 없다는 것이 국민의힘 입장이다.
29일 본회의에서는 ‘쌍특검법’(김건희 여사 특검·대장동 50억 클럽 특검) 재표결도 실시될 전망이다.
쌍특검법은 지난달 5일 윤석열 대통령이 ‘총선용 악법’으로 규정해 거부권(재의요구권)을 행사해 국회로 돌아왔다.
민주당은 29일 본회의에서 쌍특검법을 재표결할 방침이다.
쌍특검법 재의결을 위해선 국회 재적의원 과반 출석에 출석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필요하다.
재적의원인 297명이 전원 출석한다고 가정했을 때 198표 이상의 찬성이 필요하다.
국민의힘은 쌍특검법 재표결과 관련해 부결을 자신하고 있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