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의사 대표들이 의대 증원 방침을 고수하는 윤석열정부를 향해 “일방적으로 정책을 강행한다면 전체 의료계가 적법한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끝까지 저항하겠다”며 최후통첩을 날렸다.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으로 현실화 된 ‘의료 공백’ 사태가 더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대한의사협회(의협) 비상대책위원회는 25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전국 시·도 의사회의 장 등이 참여하는 대표자 확대회의를 개최하고 이 같은 결의문을 발표했다.
비대위는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이 의학 교육을 부실하게 만들 뿐아니라 의료비를 폭증시키고 미래세대에 이로 인한 부담을 전가할 수 있다”며 증원 계획 즉각 철회를 요구했다. 증원 정책과 함께 추진되는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에 대해서도 “국민의 자유로운 의료 선택권을 침해하고 의사의 진료권을 옥죌 것”이라고 반대 뜻을 재확인했다.
김택우 비대위원장은 개회사에서 “작금의 상황은 과거 2000년 의약분업 사태와 비견될 정도로 비상시국”이라며 “이를 막아 내기 위해 의료계 전체가 똘똘 뭉쳐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비대위는 회의에서 향후 의료계 집단행동 시작과 종료를 전 회원 투표로 결정할지 여부에 대한 의견을 취합한다. 앞서 비대위 차원에서는 ‘의료계 단체행동의 시작과 종료는 전 회원 투표로 결정한다’는 방침이 세워졌다.
의료계 안팎에서는 비대위 입장이 사실상 ‘최후통첩’ 성격이 짙다는 평가가 나왔다. 의료계는 의대 증원에 맞서 전공의 집단 사직 카드를 꺼내 들었지만 정부는 기존 입장에서 물러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회의에 참석한 한 대표자는 언론 인터뷰에서 “전공의와 전임의들이 이렇게 행동에 나서고 있는데, 개원한 선배들이 가만히 있어도 되겠나. 향후 집단행동이든 준법투쟁이든 대응 방식에 대한 논의가 나올 것이라 본다”고 말했다.
비대위 관계자는 “상황이 급박해서 당장 다음 주에 어떤 사건이 생길 수도 있는 사태에 대비해 여러 가지를 논의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