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가 당내 현역 평가 하위권(10~20%) 통보를 받은 의원들이 반발하는 상황에 대해 “불합리하다고 느끼실 수 있겠지만 객관적 평가에 의한 결과”라고 선을 그었다.
박 원내수석부대표는 20일 YTN 라디오 ‘뉴스킹 박지훈입니다’에 출연해 “당에서 시스템이 설계되고 운영되는 과정을 저도 최고위원으로서 지켜봤던 사람으로서 평가가 그렇게 자의적으로 이뤄지기 매우 어렵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전날 현역 국회부의장인 김영주(4선·서울 영등포갑) 의원이 하위 20% 통보를 받고 탈당한 것을 두고 “아마 본인이 느끼시기에는 하위 20%라는 평가를 받는 것 자체가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있으셨을 것 같다”면서도 “사실 본인이 봤을 때는 평가라는 게 항상 좀 박하지 않느냐. 약간 그런 부분들도 좀 감안해 주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어 “당에 하고 싶은 말은 하위 20% 평가를 받은 분들에게 통보할 때 예우라든지 사후 관리라든지 이런 부분에 있어서 좀 더 신경을 쓰면 어떨까 싶다”고 덧붙였다.
탈당 선언 당시 김 부의장은 “지금의 민주당은 이재명 대표 사당으로 전락했다”며 “영등포 주민을 대표하는 국회의원으로서 모멸감을 느꼈다”며 불편한 기색을 숨기지 않았다.
박 원내수석부대표는 현역 평가 통보로 인해 탈당하는 의원이 속출할 것이란 전망에 대해 “현역 의원들이 보통은 경쟁력이 다른 후보들에 비해 상당히 강한 편”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하위 20% 평가를 받는다 해도 본인의 노력도 이런 것들로 극복해낼 수 있는 부분들이 있다”고 말했다.
현역 평가 하위 20%에 들면 경선 득표수의 20%를 감점하고, 10%에 들면 득표수의 30%를 제외해 사실상 총선 ‘컷오프’(공천 배제)로 여겨지고 있다.
그는 현역 평가 하위권 명단 발표가 친문(친문재인)·친명(친이재명) 간 계파 갈등으로 이어질 것이란 관측에 대해선 “친명 또는 비명으로 갈라서 보는 것 자체가 굉장히 잘못된 프레임이라고 본다”며 “총선 승리를 누구나 다 제1의 목표로 두고 있고, 가장 강하고 가장 당선 가능성이 높은 후보들을 공천하기 위해 노력하는 게 기본적인 모습”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런 것들을 무시한 채 일부 그룹 사람들을, 또는 일부 그룹 사람들과 친한 사람들을 공천하려고 한다고 보는 것은 현재 상황을 편안하게 보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방유경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