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이재명 대표 대선공약 파기’ 비판을 감수하며 추진하고 있는 범야권 비례 위성정당 구성이 초반부터 삐걱대고 있다.
원내 제3당인 녹색정의당은 민주당 주도 비례연합정당에 불참하겠다고 밝혔고 진보당과의 지역구 의석 협상은 난항을 겪고 있다.
김준우 녹색정의당 상임대표는 18일 국회 기자회견에서 “민주당의 비례연합정당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녹색정의당은 전날 전국위원회에서 만장일치로 불참을 결정했다.
김 대표는 “민주당이 녹색정의당에 제안한 비례연합정당은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 취지에 정면으로 반하므로 위성정당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설명했다.
민주당은 진보당과 새진보연합, 시민사회단체 연합정치시민회의와 함께 비례연합정당인 ‘민주개혁진보선거연합(민주연합)’ 창당을 준비하면서 녹색정의당을 향해 이번 주말을 시한으로 제시하며 동참을 촉구해왔다.
다만 녹색정의당은 민주당과 지역구 후보 연대, 정책연합을 폭넓게 추진하기로 했다.
김 대표는 “2016년 총선 당시 경남 창원·성산에서 노회찬 후보가 단일화를 통해 당선됐듯 접전 지역구에서의 후보 연대는 시민들의 바람”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민주연합 추진단장인 박홍근 의원은 기자회견에서 “의미 있는 일”이라며 “오늘이라도 논의 테이블에 임하겠다”고 환영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지역구 후보 단일화까지는 갈 길이 멀다는 평가다. 민주당은 진보당과도 지역구 배분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민주당은 경선을 통한 후보 단일화 원칙을 주장하고 있지만 진보당은 10석 안팎의 지역구 할당을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범야권 통합이 반쪽에 그칠 경우 민주당이 위성정당 설립 명분으로 내세웠던 정권심판론이 희석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이런 가운데 신당을 추진하고 있는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은 인재영입을 통해 몸집 키우기에 나섰다.
조 전 장관은 이날 서울 동작구 현충원에서 김영삼·김대중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한 뒤 “검찰 독재정권의 조기 종식, 민생경제 회복 등 ‘조국신당’의 가치와 비전에 부합하는 인물들과 협의하고 있다”며 “(창당은) 2월 말, 늦어도 3월 초까지 이뤄질 걸로 본다”고 말했다.
이동환 기자 hu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