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사직서 715명, 수리는 0건… 업무개시명령 100명 복귀

입력 2024-02-18 17:17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18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의 의대정원 증원 필요성 및 의사 집단행동과 관련한 대국민 담화문 발표를 마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에 반발해 사직한 전공의가 700명을 넘겼다. 다만 아직 사직서가 수리된 경우는 없다고 한다. 의료 공백 우려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비상진료대책상황실을 운영해 만일의 경우에 대비하고 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18일 한덕수 국무총리의 ‘의사 집단행동 관련 대국민 담화’ 이후 이어진 질의응답에서 “지난 16일 오후 6시 기준으로 전공의 수 상위 수련병원 100곳 중 23곳에서 715명이 사직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실제 사직서를 수리한 경우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전공의들이 실제 집단행동에 들어갈 경우,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지키기 위해 법에 부여된 의무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했다.

복지부는 현재 지자체와 언계한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조 장관은 “복지부와 지자체는 비상진료대책상황실을 이미 운영 중이고 관계부처와 지자체, 공공병원을 수립하고 있다”며 “상급종합병원은 입원.중증 진료를 중심으로 진료 기능을 유지하고, 전국 400곳의 응급의료기관은 24시간 비상진료체계를 철저히 운영하겠다”고 했다.

이어 “전국의 지방의료원 35곳, 적십자병원 6곳과 보건소 등 공공병원의 진료 시간을 연장하고 비대면 진료도 대폭 확대하겠다”며 “파업 시에도 병원 운영이 가능하도록 재정 지원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또 정부는 병원을 이탈한 전공의들에게 업무개시명령을 내리며 대응하고 있다. 지난 16일 진료 유지 명령에도 불구하고 근무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전공의 103명에게 업무개시명령을 내렸고, 이들 중 100명이 복귀했다.

앞서 복지부는 이날 오후 1시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제 10차 회의를 열고 관련 상황을 점검했다.

조 장관은 “의협이 집단행동 등 투쟁의 길을 선택해 매우 유감”이라며 “의료인 여러분께 부디 환자의 곁을 지켜주길 부탁드리며, 정부는 대화의 장을 열어두고 기다리겠다”고 했다.

이어 “정책 결정 및 집행과 관련해 공무원 개인에게 가해지는 공격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과도한 인신공격과 근거 없이 악의적인 사항을 유포하는 행위를 자제하기를 바라고, 재발 시 부처 차원에서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강민 기자 river@kmib.co.kr